세계일보

검색

中 추격 따돌린다… 삼성·LGD ‘초격차 디스플레이 기술’ 맞짱

입력 : 2025-08-08 06:00:00 수정 : 2025-08-07 20:13:17
이동수 기자 d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K디스플레이’ 동시 출격

삼성D, 초미세 올레도스 선봬
스마트폰보다 화질 8배 선명
워치용 마이크로 LED도 전시

LGD, ‘4세대 기술’ 패널 전면에
가장 빠른 모니터 패널 첫 공개
맞춤형 인재 양성 아카데미 출범

국내 유일 디스플레이 전문 국제인증 전시회인 ‘K디스플레이 2025’에 업계 양대산맥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나란히 출격했다. 중국의 디스플레이 추격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2030년까지 초격차 디스플레이 인력 3900명을 양성하는 민관 합동 플랫폼을 출범시켰다.

올해로 24회차를 맞은 K디스플레이는 7∼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다. 삼성, LG를 비롯한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기관 143곳이 참여해 582개 부스를 운영하며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의 방향을 제시한다.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K디스플레이 2025’ 전시회의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서 1.3형 화이트(W) 초미세 올레도스를 체험하는 모습.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혼합현실(XR) 기기용 초미세 올레도스(OLEDoS), 마이크로 LED 워치 등 혁신 제품을 공개하며 초격차 기술력을 뽐냈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로 XR 헤드셋의 핵심 부품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이는 1.3형 양안(두 눈) 화이트(W) 올레도스는 스마트폰보다 픽셀이 8배 더 조밀한 초고화질을 구현한다. 최신 스마트폰의 1인치당 픽셀 수(PPI)는 500PPI 안팎인 가운데 해당 올레도스는 4000PPI 수준이다. 최대 화면밝기도 갤럭시 S25 울트라(3000니트)의 3배 이상인 1만니트(1니트는 촛불 한 개 밝기)에 달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세대 스마트워치용으로 개발된 6000니트 밝기의 마이크로 LED도 최초로 공개했다. 6000니트 밝기는 기존 공개된 워치형 제품 중 최고 수준이다.

LG디스플레이 부스 입구에 설치된 83인치 4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모습.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주제로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제시했다.

전시 부스 입구에는 올해 공개한 4세대 OLED 기술이 적용된 83인치 OLED 패널이 자리했다. 4세대 OLED 기술은 업계 최초로 빛의 삼원색(적·녹·청, RGB)을 모두 독립된 층으로 쌓은 ‘프라이머리 RGB 탠덤’ 기술을 기반으로 최대 밝기 4000니트를 달성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OLED 모니터 패널도 이날 최초 공개됐다. LG디스플레이의 540㎐ 27인치 OLED 패널(QHD)은 사용자 필요에 따라 최대 720㎐(HD)의 초 고주사율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 4세대 OLED 기술을 더해 디지털영화협회(DCI)의 색 영역인 ‘DCI-P3’ 색재현을 99.5%, 최대 1500니트 밝기 등 OLED 모니터 중 최고 수준의 화질을 갖췄다.

한편 K디스플레이를 주관한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이날 디스플레이 현장에 필요한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종합 컨트롤타워 ‘한국 디스플레이 아카데미’의 출범식을 개최했다. 아카데미는 취업 희망자와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중소·중견기업 수요 기반의 이론과 실습 교육을 제공하며 향후 5년간 3900명의 전문인력을 키워낼 예정이다. 아카데미 초대 원장으로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장을 지낸 곽진오 동진쎄미켐 부회장이 추대됐다.


이동수 기자 d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