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언석 “국민과 함께 분노한다”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의 특별사면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조 전 대표가 8·15 광복절 특별사면 심사 대상에 포함되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사실상 사면을 결심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조 전 대표의 사면은 국민적 관심이 높고 정치적 파장도 작지 않은 사안인 만큼, 사면심사 대상에 포함된 것 자체가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여권 일각에서는 “시기상조”라는 반발이 나오는 한편 “민주주의 회복의 신호탄”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며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법무부는 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사면심사위를 열고 조 전 대표 등 정치인과 민생사범이 포함된 8·15 광복절 특사 대상자를 심사했다. 사면심사위 논의를 통해 사면·복권 건의 대상자가 추려지면, 이 대통령의 최종 결단을 거쳐 이르면 12일 국무회의에서 사면·복권 명단이 최종 확정된다.
조 전 대표가 사면·복권되면 약 8개월 만의 복귀다.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국민적 우려가 큰 지탄의 대상이었던 조 전 대표를 (특사 명단에) 포함시켰다는 것에 대해 국민과 함께 분노한다”며 반발했다.

민주당은 공식적으론 “사면은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고 언급을 삼가며 여론의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용기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조 전 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사냥에 의해 멸문지화를 당했다는 부분은 민주당 내부에선 팽배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한 친이재명계 의원도 “지금이 오히려 적기다. 지방선거를 앞둔 12월 성탄절 특사는 이 대통령에게 더 부담”이라고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무회의를 거쳐서 사면 대상들이 의결되고 난 이후 공식 발표를 하게 된다”면서 “그때까지는 저희도 최종적으로 알기 어렵다”고 즉답을 피했다.
반면 이 대통령 측근인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이번 법무부 심사 명단에 들어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