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우리나라에 있으면 안 되는데”…러브버그 가고 등장한 ‘이 곤충’, 뭐길래?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8-04 14:01:51 수정 : 2025-08-04 20:40:59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반도 남부 곳곳에서 일명 ‘열대의 보석곤충’으로 불리는 알통다리잎벌레 일종이 포착되고 있다. 열대 지역이 주요 서식지라 우리나라에는 정착한 적이 없는 외래종으로, 생태계 입장에서 경계해야 할 신호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알통다리잎벌레 일종인 '사그라페모라타'. 유튜브 'TV생물도감' 화면 캡처

지난달 29일 유튜브 채널 ‘TV생물도감’에 올라온 영상에는 남해안 지역 칡 덩굴에 무리를 이루고 붙어 있는 알통다리잎벌레 일종(학명: sagra femorata)의 모습이 담겼다. 생물 전문 유튜버는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해당 영상에서는 ‘사그라알통다리잎벌레’라고 소개됐지만, 공식적인 한국어 명칭은 없다. 

 

알통다리잎벌레는 핑크빛 광택을 띠는 등껍질과 굵은 뒷다리가 특징이다.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우리나라에는 이와 유사한 곤충이 없으며, 국내에 유입될 경우 소독처리 없이 방치되면 식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관리해충’으로 분류된다. 2012~2014년, 그리고 2021년에 일시적으로 국내 유입이 보고된 적은 있었지만, 아직까지 대량 번식이나 서식지 정착 사례는 관찰되지 않았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국내에 유사한 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곤충이 실제로 정착할 경우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튜브 'TV생물도감' 화면 캡처

 

한편, 최근 한반도에서 관찰되는 아열대·열대 곤충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2년에는 아열대종인 노랑알락하늘소가 제주도에 정착한 사실이 공식 확인됐고, 아시아집흰개미나 토마토뿔나방 등 고온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곤충들도 2020년 이후 잇따라 발견됐다. 2023년에는 중국과 태국 등에 서식하는 큰활무늬수염나방과 제주박각시살이고치벌이 제주도에서 관측되기도 했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에 정착한 아열대성 곤충은 17종에서 38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