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체·배터리 일체화 ‘셀투바디’ 첫 적용
가속 부드럽고 곡선 구간 쏠림도 적어
실내 차체 연결 부위 단차 등은 아쉬워
“(자동차는) 잘 달리고 잘 돌아가고 잘 서고의 3가지 본능에 충실해야 합니다. 바로 ‘씰(SEAL)’이 그런 차량의 본원적인 성능에 충실하고, 그런 본원적인 성능을 가지고 여러분들에게 다가갈 예정입니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가 지난달 16일 경기 용인 AMG 스피드웨이에서 진행된 ‘BYD 씰 트랙 데이’에서 전기 세단 ‘씰’에 대해 이같이 소개했다. 씰은 중국 전기차 업체 BYD가 국내 두 번째로 출시한 전기차로, 차체와 배터리를 일체화한 ‘셀투바디(Cell to Body)’ 기술을 처음 적용한 모델이다. 최고 출력은 앞뒤 두 개의 모터 합산해 390㎾로, 마력으로 환산하면 530마력이다. 최대토크는 670Nm다. 공식 제로백(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걸리는 시간)은 3.8초다. 주행거리는 상온 기준 복합 407㎞다.

이러한 수치적 성능 말고 실제 이날 씰을 타고 에버랜드 인근 공도를 40∼60㎞ 속도로 달려본 결과, 운전하면서 받은 느낌은 조 대표의 말처럼 ‘잘 달리고 잘 돌고 잘 멈춘다’였다. 방지턱 등 요철을 지날 때는 둔탁한 느낌을 받기는 했지만, 큰 충격이 느껴지지 않았다. 곡선을 주행할 때는 차체의 쏠림이 적었으며, 직선에서 가속할 때도 지체 없이 속도가 올라갔다.
이러한 성능은 용인 스피드웨이 트랙 주행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직선 구간 160㎞를 넘는 속도까지 가속 페달을 밟아봤는데, 부드럽게 속도가 올라갔다. 힘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없었다. 그리고 높은 속도로 곡선 주행을 하다가 차량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그때도 씰은 금방 균형을 잡고 곡선 구간을 빠져나갈 수 있었다. 전체적인 느낌은 잘 달리고 잘 돌아갔다. 물론 잘 섰다.


하지만 아쉽다고 느껴진 부분도 적지 않았다. 우선 외부는 물론이고 실내 차체 간 연결 부위에 이격 정도(단차)가 심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내비게이션이나 재생 중인 음악 제목 등이 표시되지 않았다. 오직 속도 제한, 크루즈 속도, 현재 속도, 핸들 보조, 차선 보조만 나왔다.
제일 아쉬운 점은 스포츠로 주행 모드를 변경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포츠만의 장점을 느끼기 힘들었다. 통상 내연기관 자동차든 전기자동차든 스포츠로 변경하면 즉각적인 속도 반응 등으로 그만의 주행감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씰에서는 스포츠로 해도 큰 변화를 느끼기 힘들었다. 더욱이 내연기관 엔진 소리라도 임의로 넣었다면 스포츠를 선택해 느끼고자 하는 자동차의 역동성을 일부라도 체감할 수 있었겠지만, 씰은 전기차 특유의 조용함만 가지고 있었다.


또한 BYD코리아가 “구형은 맞지만 생산일자는 올해 2025년산 차량”이라고 해명했다고 하지만, ‘자율주행 고도화 기술’이 미적용된 2022년 7월에 공개한 차를 국내에 들여왔다는 점에서 국내 소비자에게 많은 선택을 받을지는 미지수로 느껴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