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변에서 가장 가까운 폭염 대피소는?”
경기도가 생활밀착형 환경 정보 통합 관리·분석시스템인 ‘경기기후플랫폼’ 서비스를 28일 시작했다.

이 서비스는 국내 처음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 만든 고정밀 기후·환경·에너지 종합 플랫폼이다. 2023년 12월 개발에 나서 최근 완성했다. 항공 라이다(LiDAR), 위성 영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통합·분석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는 관련 정보를 도민과 공공, 기업 모두에 개방해 ‘디지털 기후 거버넌스(민관협력)의 중심’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도민들은 사용자 주변 기후위험 평가 결과를 등급화한 기후위기 정보, 탄소중립 현황 등 자발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체감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방문계획이 있는 지역을 찾아보면 해당 지역의 산사태 위험등급 현황, 극한 호우 위험등급, 폭염경보 등을 살펴볼 수 있다.
공공기관은 플랫폼의 정책 지원 정보시스템을 활용해 과학적 정책 수립이 가능해진다. 항공 LiDAR, 위성 영상 등 공간정보를 종합 분석해 산사태 취약 지구를 지정하고 재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또 탄소 흡·배출 관리 및 공간 기반의 태양광·탄소 정보를 통해 과학적 의사결정과 탄소중립 목표 이행 추적 관리도 할 수 있다.
기업은 기후경영서비스를 이용하면 전문 지식과 별도 투자 없이도 국제표준 기반의 탄소회계와 에너지경영서비스 지원받을 수 있다.

도는 이날 광교 청사에서 경기기후플랫폼 개시 행사를 열고 경기연구원,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기후솔루션 등 기후·환경 전문가와 함께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행사에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기후문제 해결의 선결 조건”이라며 “기후·에너지 데이터를 통합하는 경기기후플랫폼이 최적의 기후위기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종합진단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