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영 “선택은 임명권자의 몫”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28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향한 ‘막말 논란’이 불거진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에 대해 “논란되는 인사는 사전에 설명이 필요하다”면서도 자진 사임했던 “강준욱 전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과는 결이 다르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의 복심으로 여겨지는 윤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최 처장에 대해 “말씀을 많이 과하게 하신 분 같긴 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처장은 지난달 유튜브 방송에서 “문재인이 오늘날 우리 국민이 겪는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고 발언한 데 이어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 여권 인사에 대해서도 격한 발언을 쏟아내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치욕스럽기까지 하다”고 분노의 표현을 쏟아냈다.
그는 다만 최 처장의 발언 논란을 강준욱 전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 사례와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지난 22일 강 전 비서관은 ‘비상계엄 옹호’ 논란으로 자진 사퇴했다. 강 전 비서관은 동국대 교수이던 올해 3월 펴낸 ‘야만의 민주주의’라는 책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옹호하고 이를 내란으로 규정하는 것은 ‘여론 선동’이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일전에 자진 사임했던 강준욱 비서관하고는 결이 다른 문제라고 생각하는 게 헌법적 가치나 이런 게 아니라 이건 선택의 문제”라고 말했다. 비상계엄을 옹호했던 강 전 비서관과 달리 최 처장은 민주 진영 내에서 다른 평가를 내놓은 것인 만큼, 평가 잣대 또한 달리 봐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윤 의원은 이어 “한 가지 아쉬운 부분은 논란이 되는 인사가 있거나 이 인사가 꼭 필요하다고 한다면 사전에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며 “이런저런 사정을 설명하고 이 사람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하는 게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 데 용이한 것 아닌가. 그런 과정들이 이번에 생략된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어떤 선택을 할지는 임명권자의 판단”이라며 “지금은 이재명 대통령의 시간이고 국민 여론과 역량 등을 감안해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