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8월1일)을 앞두고 열린 한·미 상무장관회담에서 미국측이 한국과의 조선협력에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한국이 제공할 비장의 무기는 조선분야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대통령실은 26일 김용범 정책실장과 위성락 안보실장이 통상현안 긴급회의를 개최해 대미 통상협상 현안을 점검하고 대응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회의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등 관계 부처 장·차관이 참석했다.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등 주요 참모들도 자리했다.
회의는 미국에서 한창 통상협상을 진행 중인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화상으로 참석해 현지에서 파악한 정보를 시급하게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김 장관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의 회담 결과를 보고하면서 미측의 조선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에 양국간 조선협력을 포함한 상호 합의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재무·산업부 2+2 회의가 돌연 취소되며 지난 24일 출국하지 못했던 구윤철 부총리, 첫 방미를 앞둔 조현 외교부 장관은 다음주 중 미국으로 가 각각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회담을 할 예정이다.
협상 막바지에 다다른 상황에서 양국은 조선분야를 중심으로 서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내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 여러 조건이 유사한 일본에서 타결한 15% 관세를 기준으로 이보다 나은 결과를 내기 위해 힘쓸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는 쌀, 소고기 등 농산물 시장 개방을 비롯해 일본이 통 크게 지른 ‘5500억달러 대미투자’와 유사한 대규모 투자·펀드, 주한미군의 역할 증대 및 국방비 증액·전시작전권 등이 한국에서 제안할 만한 카드로 거론돼 왔다.
구체적인 항목별 협상에 진전을 보인 뒤 다음주 단독 만남을 가질 양국 재무장관, 외교장관 선에서 협상 타결을 추진하기 위한 추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측에서 구 부총리와 베선트 장관의 회동 날짜는 이미 전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협상 시한이 엿새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통령실은 연일 범부처 회의를 소집해 대미 협상에서의 논의 진척 상황과 미국 측의 반응 등을 공유하고 대응책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