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민 절반 이상 “신문뉴스 보고 기후변화 대응 위해 생활습관 바꿔” 응답

입력 : 2025-07-26 14:26:09 수정 : 2025-07-26 14:26:08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5일 경기 가평군 수해 피해 지역에서 복구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뉴스1

 

국민 10명 중 6명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생활습관을 바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월간지 보건복지포럼 7월호를 통해 '기후위기와 건강에 대한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방안'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91.3%는 기후변화와 건강 문제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탐색하고 있다고 답했다.

 

탐색 빈도는 '가끔'이 41.3%로 가장 많았으며 주요 정보원으로는 신문·뉴스(94.0%)와 시사 프로그램·교육방송(92.0%) 등 공신력 있는 매체가 꼽혔다.

 

일반 도서(70.8%)와 논문 등 전문자료(67.2%)를 활용한다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기후보호를 위해 생활습관을 바꿨다는 응답은 66.1%에 달했으며 투표 시 기후변화를 고려한다는 비율도 54.9%로 절반을 넘었다.

 

응답자의 52.7%는 가족이나 친구, 동료와 기후변화에 대해 대화한다고 밝혔고 56.5%는 주변인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기후환경 단체 활동이나 기부 경험은 36.1%, 관련 강연이나 세미나 참석 경험은 26.0%에 그쳐 직접적인 참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87.4%가 관련 정보를 알고 싶다고 답했으며 관심 주제로는 기후로 인한 질병 관리(64.7%), 개인 행동 수칙과 대응 방법(59.2%), 국내 기후보건정책(40.7%), 건강 피해 통계(34.5%)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관련 정보가 특정 질환 중심으로 제한돼 있다며 기후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환경친화적 실천 사례를 미디어가 적극적으로 소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전국 만 19세부터 64세까지의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앞서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보고서에도 수록됐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