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남경필 “ADHD 치료제로 마약 입문”…의료계 “왜곡 정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7-24 13:30:18 수정 : 2025-07-24 13:30:18
장한서 기자 jh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가 마약 입문 통로가 될 수 있다는 발언을 하자 의료계에서 “왜곡된 정보”라며 반박에 나섰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24일 성명을 통해 “ADHD 약은 ‘마약’이 아닌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수단”이라며 “정당한 치료를 ‘마약 복용’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과학적 사실을 왜곡할 뿐 아니라 치료받는 아동과 가족에게 심각한 낙인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 뉴스1

마약예방치유단체를 이끄는 남 전 지사는 지난 16일 TV 방송에 출연해 마약사범인 한 연예인이 ‘ADHD 약에 중독돼 도수가 올라가며 결국 필로폰까지 가게 됐다’는 얘기를 전하며 부모가 ADHD 약을 권하는 건 “마약을 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이에 대해 “치료 목적으로 적절히 사용한 ADHD 약물의 중독 가능성은 매우 낮다. 오히려 ADHD 약물치료를 적절히 하는 것이 향후 약물 남용의 위험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반복적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의학회는 “ADHD 치료제에 대한 오해가 반복될수록 치료를 망설이게 돼 결국 환자의 정서·학업·사회적 기능 회복 기회를 놓칠 수 있다”며 “ADHD와 그 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반드시 과학적 근거 위에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도 남 전 지사의 발언 직후 낸 성명에서 “ADHD 치료제가 ‘마약의 입문 약물’이 아니라는 연구가 장기간 다수 나왔다”고 반박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연구진은 2500명 이상의 ADHD 아동을 수년간 추적한 결과 치료제 복용 여부와 향후 알코올, 니코틴, 마리화나, 코카인 등의 사용 위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의사회는 “위험은 약물이 아니라 ‘치료받지 않은 ADHD’ 자체”라며 “ADHD 치료에 대한 오해와 낙인은 필요한 치료를 회피하거나 중단하는 사태를 불러오고 있으며 이는 ADHD를 가진 이들의 삶의 질과 건강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ADHD는 주의력 부족과 산만함, 과잉 행동, 충동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질환으로, 최근 국내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ADHD 환자는 2020년 7만8958명에서 지난해 25만6922명으로 3.3배가량 증가했다.


장한서 기자 jh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