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고리1호기를 비롯한 국내외 원전해체수요와 원전해체산업 규모 증가 추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한 국내외 원전해체시장 선점에 나선다.

24일 부산시에 따르면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시는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건립 △소형모듈원전(SMR) 보조기기 제작지원센터 구축 △지역 원자력산업 기반 에너지기술 공유대학 운영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달 26일 고리1호기 해체를 승인함에 따라 국내 원전해체시장이 활짝 열렸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17일 ‘고리 1호기 비관리구역 내부 및 야드 해체 공사’ 본공고를 발표했다.
시는 해체가 결정된 고리1호기와 내년에 해체 결정이 내려질 예정인 월성1호기를 비롯한 국내 원전해체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현재 부산에는 110여개의 원전기업과 원전해체 관련 산업·환경설비공사업 면허를 가진 14개의 등록업체가 영업 중이다.
시는 수차례에 걸쳐 한국수력원자력 및 고리1호기 현장을 방문해 각종 설명회 및 간담회를 개최했다. 또 외부 세미나 및 토론회 참석 등 원전해체시장에 부산지역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세일즈 마케팅을 전개했다.
이 같은 노력 끝에 한국수력원자력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원전해체사업 입찰공고문에 지역업체의 공동도급 및 하도급 참여를 명문화했다. 공동도급을 위해서는 부산지역 업체와 최소 출자비율 30% 이상 공동수급체를 구성해야 하지만, 부산지역 업체의 경우 까다로운 실적요건을 제외하고 면허요건만 구비하면 공동도급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또 하도급의 경우 기장군 지역 업체 30% 이상이 참여할 수 있도록 명문화함으로써 부산지역 기업들의 원전해체시장 참여 기회를 실질적으로 보장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1호기 해체를 위한 현장설명회를 25일 오전 고리1발전소 발전종합지원센터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입찰에 관심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해체공사 사업개요와 공사범위, 계약내용 및 유의사항 등을 설명한다. 본입찰은 다음달 28일 오전 11시 마감한다.
시는 고리1호기 해체작업을 비롯해 본격화될 국내 원전해체시장에 지역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국수력원자력과 긴밀한 협력을 통한 다각적인 노력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지역 대학과 기업을 중심으로 산·학·연 협력을 통해 부산지역 기업들의 원전해체산업 생태계 및 기반 조성을 위한 전문 인력을 집중 양성할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지역 원전기업들이 국내 원전해체시장에서 실적을 쌓을 수 있는 디딤돌을 놓고, 국내에서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550조원 규모의 세계 원전해체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