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23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7주 만에 평화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1일 밝혔다.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루스템 우메로프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서기와 러시아 측과의 접촉 및 추가 회담 준비 사항을 논의했으며 회담이 수요일(23일)에 예정돼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또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세한 내용은 22일에 공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과 RIA 통신도 소식통을 인용해 회담이 23일 열릴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협상 일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를 향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제재 압박’이 나온 지 일주일 만에 구체화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에 새 무기 제공을 약속하고 50일 내로 휴전 합의를 하지 않으면 러시아와 교역국까지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한 바 있다.
하지만 협상이 이뤄진다 해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에서 중대 합의점을 도출하기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크림반도와 돈바스 등 4개 접경지역을 양도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의사도 포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의 제안서 초안이 있고, 우크라이나 측에서 제출한 제안서 초안도 있다”며 “현재까지 완전히 대립하는 두초안에 대한 의견 교환과 회담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키이우에서 자국 외교관들을 상대로 한 연설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필요성을 다시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 쪽의 의제는 분명하다. 전쟁 포로의 송환, 러시아에 의해 납치된 어린이의 송환, 그리고 정상회담 준비”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다음 협상에서 상세한 휴전 논의는 없을 것”이라며 “최고 수준의 논의에서만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만큼 정상회담 준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 정상회담을 제안하며 지난 5월 튀르키예를 직접 방문했지만 푸틴 대통령이 응하지 않았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휴전 압박 속에 지난 5월 16일과 6월 2일 두차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평화협상을 했으나 포로 교환과 전사자 유해 반환 외에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