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감소 없는 주 4일 근무제가 효과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매우 긍정적이다. 근로자들의 업무 수행 향상과 피로·수면 문제 감소 등으로 번아웃이 줄고 직무 만족도와 신체·정신 건강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보스턴대 줄리엣 쇼어와 원 판 교수팀은 22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서 미국·호주 등 6개국 140여개 업체 2800여명을 대상으로 한 6개월 간의 주 4일제 실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임금 감소 없는 근무일 단축과 근무 시간 축소가 직원들의 직무 만족도와 건강을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조직과 정책 입안자들이 근무 시간 재평가를 통해 직원 복지를 증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제안했다.
연구팀은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아일랜드 등 6개국 141개 조직, 2896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6개월간 임금 감소 없는 주 4일제를 시행하면서 번아웃, 직무만족도 등을 측정, 그 효과를 조사했다. 이를 기존 근무제를 시행하는 12개 기업 직원 285명과 비교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직원들의 주당 평균 근무 시간은 주 4일제 시행 전 39.12시간에서 34.48시간으로 4.64시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8시간 이상 감소한 경우가 30.8%, 5~7시간 감소 24.6%, 1~4시간 감소 20.3%였으며 변화가 없는 경우는 24.3%였다.
근무일·근무시간 감소로 인한 긍정적 효과는 시간 감소 폭에 따라 달랐다. 주당 근무 시간이 8시간 이상 준 그룹의 번아웃 감소와 직무만족도 향상, 정신건강 개선 효과가 가장 컸다. 이는 주 5일제 근무 기업 직원들과 비교할 때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근무시간이 1~4시간, 5~7시간 감소한 그룹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의 긍정적 효과가 관찰됐으나 개선 폭은 8시간 감소 그룹보다 작았다.
연구팀은 주 4일 근무제의 직무 만족도 향상, 번아웃 감소, 정신 건강 개선 등의 긍정적 효과는 수면 문제와 피로 수준 감소, 개인 업무 능력 향상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무 만족도 향상에는 업무 수행 능력 향상(19.6%)과 피로도 감소(8.4%), 수면 문제 감소(7.8%)가 기여했고, 번아웃 감소에는 피로도 감소(48.1%)와 업무 수행 능력 향상(16.6%)이, 정신 건강 개선에는 피로도 감소(24.3%)와 수면 문제 감소(10.9%), 업무 수행 능력 향상(10.5%) 등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에서도 주 4일제 근무가 기업과 직원 모두에게 이득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9일(현지시간) CNN방송, 인디펜던트 등은 영국의 '주 4일 근무 재단'이 지난 6개월간 17개 기업·단체에서 실시한 주 4일제 시범 운영 결과, 기업은 매출이 늘고, 직원들은 번아웃 증상이 줄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실험에 참여한 기업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직원 1000명에 대해 급여와 업무량을 이전과 똑같이 유지하면서 근무 시간만 주 4일로 단축했다.
그 결과, 대다수 기업이 주 4일제 운영 기간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증대를 기록했고, 17개 기업 모두 시범 운영 종료 후에도 주 4일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영국 소프트웨어 업체 브랜드파이프의 매출은 130% 가까이 폭증했고, 실험 기간 직원들의 병과와 개인 휴가도 감소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