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이첩 보류 지시를 내리기 직전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최근 채해병 특별검사팀(특검 이명현) 조사에서 시인했다. ‘수사 외압’의 시작점으로 지목됐던 ‘02-800-7070’ 발신자가 윤 전 대통령이라는 사실이 약 2년 만에 드러난 셈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소환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 측은 21일 언론 공지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의견서를 특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 측은 의견서에서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31일 피의자(이 전 장관)에게 전화해 군 조직을 걱정하는 우려를 표명한 기억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 전 장관은 ‘임성근 전 사단장을 (혐의가 있다는 대상자 명단에서) 빼라’는 말을 대통령은 물론 그 누구로부터 듣지도, 그 누구에게도 지시한 사실이 없다”며 “그날 대통령으로부터 격노로 느낄 만한 질책을 받은 적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채 해병 순직사건의 경찰 이첩 보류 지시는 보다 신중한 검토를 거친 후 처리하기 위한 이 전 장관의 판단과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
이 전 장관은 2023년 7월31일 오전 11시54분 대통령실 일반전화인 ‘02-800-7070’ 번호로 발신된 전화를 받고 2분48초간 통화했다. 당일 오전 11시 윤 전 대통령이 채 해병 순직사건 수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했다는 수석비서관회의가 이뤄진 직후다. 이 전 장관은 이 전화를 받은 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화해 자신이 결재했던 해병대수사단 수사 결과에 대한 언론 브리핑과 국회 설명을 취소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몇 분 뒤 다시 전화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정상 출근하게 하라고도 지시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통화의 당사자인 윤 전 대통령 소환조사 필요성에 대해 “당연히 불러서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02-800-7070’의 발신지가 대통령실 내 집무실인지 부속실이었는지 등에 대해선 이 전 장관의 진술과 별개로 확인 중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