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경제 체질 개선과 민생 안전 등을 위한 민생경제 회복에 총력전을 펼친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21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민생회복 비상지역경제 대책’을 발표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지난 17일 ‘민생회복 비상지역경제 대책회의’ 결과를 토대로 4대 중점 분야를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4대 분야는 △서민생활 안정지원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일자리 창출 △사회간접자본(SOC) 기반 확충이다.
우선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3158억원 규모의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1조1898억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10% 할인보전금을 지원한다. ‘문화소비 365’ 활성화, 체류 관광자원 발굴 등으로 통해 내수 진작을 본격화한다.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애초 4120억원에서 100억원 증액해 연말까지 1200업체에 지원하고 1000억원 규모의 ‘충북형 모펀드’를 조성해 온라인 판로 개척과 수출 지원 등 기업 경쟁력을 높인다. 소상공인육성자금은 1900억원에서 2400억원으로 확대한다.
일하는 밥퍼와 일하는 기쁨, 청년·여성 일자리 지원 등을 확대해 일자리 창출에 도움을 준다. 지방하천과 지방도로 등의 SOC 기반을 확충해 교통과 물류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한다.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민생안정 경제활력 세제지원, 자활성공지원금 지급, 충북형 지방시대 벤처펀드, 지역 제품 우선 구매, 경력보유여성 발굴 등이 꼽힌다. 여기에 물가안정, 농산물 소비촉진, 도시근로자, 도시농부, 도로 유지보수 등의 사업을 지속한다.
김 지사는 “인공지능 대전환과 글로벌 통상질서 개편, 저성장 고착화라는 대내외 위험에 더해 인구감소, 지역 불균형, 기후위기 등 구조적 난제까지 겹친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며 “현장의 절박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실질적 해법을 마련하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16년 만에 태풍 없는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507.jpg
)
![[특파원리포트] 트럼프가 결국 김정은을 만난다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99.jpg
)
![[구정우칼럼] ‘욕구 봉쇄’는 저항을 부른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77.jpg
)
![[김정기의호모커뮤니쿠스] ‘무라야마 담화’의 가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128/2025102651048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