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구윤철, 기획 부동산식 수법”
민주 “손해보고 판게 투기냐” 방어
조현, 아들 증여 등 재산신고 누락
조 “기술적인 사안 잘 몰라 빠뜨려”
김정관, 野 ‘성남FC 후원금’ 공세에
“두산 재직 전 있었던 이야기” 반박
이재명정부 1기 내각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정국의 중반부에 접어든 17일 여야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검증을 이어갔다. 후보자 또는 그 가족을 둘러싼 부동산 투기·병역비리 등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의 엄호 기조 속에 야당은 각종 의혹에 전방위 추궁에 나섰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이날 이재명정부 첫 경제 사령탑으로 지명된 구 후보자에 대한 검증에 돌입했다. 이날 야당은 구 후보자의 ‘배우자의 농지 투기’ 의혹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고들었다.
국민의힘 유상범 의원은 “후보자 배우자가 무안 소재 농지 300평을 샀다. 당시 무안군에 기업도시 유치 열풍이 불고 있었다”며 “전형적인 ‘쪼개기 매매’ 형식의 기획 부동산 매매”라고 지적했다. 실제 구 후보자의 배우자는 2004년 전남 무안군 소재 992㎡(약 300평) 면적의 논을 구입했다 2016년 되팔았다.
구 후보자는 “(배우자 매매 사실을) 공직자 재산 등록할 때 알았다”며 “영농체험용으로 구매한 농지”라고 반박했다. 그는 “2003년부터 주 5일제가 되면서 도시민의 영농체험, 주말농장 등으로 인해 1000㎡ 미만은 정부가 권장했었다”며 “집사람이 도시에서 자랐기 때문에 영농체험을 하려는 순수한 목적이었다. 그때 3000만원 투자해서 다섯 사람이 했는데 팔 때 1000만원에 팔았다. 투기 목적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민주당 진성준 의원은 해당 의혹을 언급하며 “12~13년 갖고 있다가 2500만원 손해를 보고 팔았다. 이게 투기냐”라며 방어전에 나섰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는 조 후보자의 재산신고 누락 등이 의혹으로 떠올랐다. 조 후보자는 국민의힘이 ‘무자격 6인방’ 중 하나로 거론한 후보자다.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조 후보자는 2019년 10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유엔대표부 대사로 재직하면서 자신의 아파트를 전세금 9억원을 받고 임대했는데 이를 재산신고에 누락했다”며 “이런 신고 누락이 한두 번이 아니다. 2019년 말에는 아드님에게 7억원을 증여했는데 2020년 재산신고에서 누락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또 “조 후보자의 아들이 2022년 삼성전자 사내변호사로 일하던 당시에 후보자와 월세 계약을 맺어 보증금 1억원이 있었는데 이 역시 재산신고를 누락했다. 총 17억원의 대규모 자산 이동을 계속 누락했다”고 꼬집었다.
공직자윤리법 등에 따르면 등록 대상 재산을 거짓으로 기재하거나 중대한 과실로 빠트리거나 잘못 기재한 금액이 3억원 이상이면 해임을 포함한 징계 또는 과태료 처분이 가능하다.
이에 조 후보자는 “재산신고를 할 때는 예금에 분명히 (기재를) 다 했는데 기술적인 사안을 잘 몰라서 채무에서 빠뜨렸다. 나중에 발견하고 전부 정정을 했다”며 “이미 예금에 포함해서 신고했기 때문에 다른 의도가 있었던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성남FC 불법후원금’ 의혹과 두산 관련 특혜 논란으로 야당 의원들의 집중 공세를 받았다. 김 후보자는 두산경영연구원 부사장과 두산에너빌리티 마케팅부문장 사장을 지냈다. 야당은 김 후보자가 재직했던 두산과 이재명 대통령의 성남시장 시절 인허가 과정을 연결지어 ‘보은인사’ 프레임을 씌우며 강하게 공격했다.
국민의힘 정동만 의원은 “두산이 경기 성남 정자동 땅을 매입했고 1997년 공사가 중단됐다”며 “두산건설이 당시 이 시장이 구단주인 성남FC에 56억원 후원금을 내고 얼마 뒤 성남시가 상업용지 용도변경을 해줬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 의원은 “73만원 땅이 용도변경 후에 1200만원이 됐는데 이걸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며 “이번 인사가 보훈인사, 특혜인사, 공직나눠먹기”라고 꼬집었다. 이에 김 후보자는 “언론을 통해 성남FC건은 알았는데 제가 재직하기 전에 있었던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의 병역 면제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은 병역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하며 “1988년도에 폐결핵 사유로 전시근로역 처분을 받았다. 증명자료를 요청했는데 개인정보 이유로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종배 의원도 면제 사유를 언급하며 “장관직 수행하면 굉장히 바쁠 텐데 문제가 없느냐”고 따져 물었고, 김 후보자는 “관리해 가고 있다”고 답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