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그놈이 그놈’이란 실망감 줘”
민보협 역대 회장단 “시대정신 안 맞아”
강 후보자, 과장된 부분 있다며 갑질 부인

더불어민주당 보좌진들의 협의체인 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16일 입장문을 내고 여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강선우 의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친여성향 단체뿐 아니라 여권 내부에서조차 보좌진에 대한 ‘갑질’ 논란이 불거진 강 후보자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인사를 관철하기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치권에선 ‘학폭’, ‘갑질’ 등은 국민의 감정을 자극하는 민감한 문제로, 다른 이슈에 비해 여론의 벽을 넘어서기 어렵다고 평가한다. 당초 “낙마는 없다”고 버티던 여권은 “여론 추이를 봐야 한다”며 입장을 바꿨다.
◆참여연대 “그놈이 그놈이라는 실망감 터져 나와”
강 후보자에 대한 비토는 야권을 시작으로 친여성향 단체, 민주당 내부에서도 터져나오고 있다.
민보협은 이날 입장문에서 “여가부 장관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도덕성과 리더십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 강 후보자가 다른 곳에선 어떠했는지 모르겠으나, 적어도 함께 일하는 보좌진에 대한 태도는 공직 윤리도, 인격적 신뢰도 찾아보기 힘들었다”며 “이재명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강 후보자는 즉각 국민 앞에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고, 장관 후보직에서 자진 사퇴함으로써 최소한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은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강 후보자와 관련해 “직장 내 갑질이 있어서는 안 되고 우리 부가 (갑질 근절을 위한) 그런 일을 담당하는 부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참여연대도 이날 논평에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12일 첫 내각 인선을 마무리하며 ‘대통령님의 눈이 너무 높다’고 밝혔는데, (지금은) ‘그놈이 그놈’이라는 실망감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며 “특히 갑질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국회의원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보좌진에게 부당한 지시를 내린 것은 공적 권한의 사적 남용이며 최소한의 도덕성조차 결여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강 후보자에 등 돌리는 여성단체들
여가부의 주요 파트너인 여성단체들도 등을 돌린 상태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지난 15일 “이재명 대통령은 강 후보자의 임명을 철회하고 국가 성평등 정책을 온전히 이끌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을 갖춘 인물을 다시 지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후보자에 제기된 보좌진에 대한 갑질 의혹에 대한 해명은 여성과 소수자의 차별을 해소와 권리 증진을 통한 성평등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 부처의 수장으로서의 자격을 근본적으로 의심하게 만들었다”며 “(강 후보자는) ‘저의 부덕의 소치’라는 사과만 반복할 뿐, 사안의 핵심인 불평등한 권력관계에서 발생한 문제의 본질에 대한 인식이나 성찰은 없었고 구체적인 사실 해명조차 충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강 후보자는 지난 14일 인사청문회에서 갑질 의혹에 사과하면서도 사실 관계에 대해선 과장된 부분이 있다고 말하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단체인 ‘한국여성의 전화’와 진보당∙민주노동당도 강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공직은 특권 아냐, 경각심 필요” 목소리도
이런 상황에선 여권도 더 이상 강 후보자를 감싸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논란을 돌파할 수 있을지 없을지 여론 추이를 보면 알 수밖에 없는데, 학폭이나 갑질 이슈는 웬만해선 여론을 넘어서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인사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강 후보자는 보좌관들에게 변기 수리나 자택 쓰레기 처리하도록 요구했다는 폭로가 나오면서 갑질 의혹이 제기됐다.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C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장관이(장관 후보자가) 될 거라고 생각했다면 몸조심을 많이 하고 주변을 다스렸을 텐데 그런 생각을 안 하다보니까 문제가 터져나오는 것”이라며 “이런 사례가 발각되면 대통령에게 얼마나 누가 되는지 스스로 판단해서 결정해야 하는데 지명을 받으면 욕심이 생기기 때문에 (자진 사퇴 결심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국회 관계자는 “강 후보자 이외에도 보좌진에게 사적 심부름을 시키며 갑질을 행사한 의원들이 더 있는데 결국 사람의 문제, 인성의 문제라 계속 반복되고 있다”며 “공직이 특권이 아니라는 경각심을 갖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