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평양 무인기’ 정찰용 맞을까… 軍, 통상 휴전선 드론 감시

입력 : 2025-07-16 19:15:00 수정 : 2025-07-16 21:02:29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드론이 정찰위성보다 정밀·저렴
북한 장사정포 등 병력 정찰 활용
‘평양 작전’ 기종 원거리 비행 강점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 및 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팀(특검 조은석)이 지난해 10월 평양에 무인기(드론)가 투입된 의혹을 들여다보면서 무인기에 의한 대북 정찰의 효용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성남 서울공항에서 원거리정찰용소형드론이 분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군은 휴전선 일대 지상 감시·정찰 전력과 정찰위성, 공중조기경보통제기와 신호정보 수집기 등의 다양한 자산을 통해 휴전선 너머의 북한 동향을 감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무인기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정찰위성은 궤도 주기에 따라 재방문 시간이 제한되지만, 무인기는 군 당국이 원하는 시점과 장소에 언제든 투입이 가능하다. 정찰위성보다 훨씬 낮은 고도에서 비행하므로 움직이는 표적이나 핵심 시설에 대한 정밀 감시도 할 수 있다. 상당한 시간 동안 특정 지역에 머물면서 지속적으로 정찰작전을 전개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비행경로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천억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정찰위성보다 훨씬 저렴하고, 파손되거나 격추되는 일이 벌어져도 인명피해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북한 내륙 지역에 무인기가 투입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한국군은 예전부터 헤론·송골매 등의 무인정찰기를 운용, 휴전선 일대 북한군 장사정포 등의 동향을 감시해왔다. 2023년 9월 드론작전사령부 창설 이후 소형 무인기도 배치됐으며, 일부는 2023∼2024년 국군의 날 행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평양 무인기 작전’에 쓰였다는 기종도 이때 대중에게 공개됐다. 원거리 정찰용 소형무인기(S-BAT·사진)로 불리는 해당 기종은 방위사업청의 신속시범획득사업으로 2021년 만들어졌다. 발사대에서 이륙해 낙하산으로 착륙한다. 운용반경은 200㎞(왕복 400㎞), 체공시간은 5시간, 최고속도는 시속 150㎞, 최대고도는 2㎞로서 4K DSLR 카메라를 탑재한다. 사전에 입력된 임무계획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 사진을 찍고 자동으로 복귀한다. 소음이 크고 레이더에 쉽게 포착되는 등의 문제로 교육용으로 분류됐으나 2022년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첨단 무인기 개발 지시 이후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교육용 무인기를 원거리 정찰 무인기로 바꿔 군에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S-BAT는 드론사 창설 당시 보유했던 기종들 중 휴전선 이남에서 평양까지 왕복할 능력을 지닌 유일한 기종”이라며 “가격도 대당 수천만원 정도로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