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야 소통 중요… 대화의 장 이끌 것”
정 “합리적일 때만 협치… 표결로 돌파”
“당정대가 진정한 원팀을 이루는 데는 박찬대가 적격입니다. 잘하기 경쟁은 갈등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
“저는 최전방 공격수로 법제사법위원장 활동을 했지만, 원팀 플레이로도 골을 많이 넣었습니다.”(민주당 정청래 의원)

민주당 당대표가 되기 위한 ‘당심 쟁탈전’이 본격화했다.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정청래·박찬대 후보(기호순)가 16일 서울 양천구 SBS 목동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첫 TV토론에서 자신이 차기 당대표 적임자라며 맞붙었다. 두 후보는 개혁 비전과 당 운영 구상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특히 두 후보는 토론에서 ‘원팀 플레이’를 두고 공방을 이어갔다. 그동안 정 후보는 ‘개혁 당대표’를 내세웠고, 박 후보는 ‘당정대 원팀’ 구호로 차별화를 시도해왔다. 이에 정 후보자가 자신도 원팀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맞받은 것이다.
박 후보는 “민주당 의원 한분 한분이 개성이 강하고 훌륭한데, 대표적으로 정청래 의원 같은 분이 계시다”며 “정부와 대통령실 당이 하나가 돼야 한다. 일도 같이 하고, 싸움도 같이 하는 데는 박찬대가 진짜 적임”이라며 견제에 나섰다.

정 후보는 “박 의원께서도 인정하듯 저는 최전방 공격수로 활동을 했다. 그러나 당대표는 최전방 공격수만 해서는 안 된다”며 “저는 국회 탄핵소추위원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할 때까지 17명의 법률위원이 잘 활동하도록 감독 역할을 잘했다”고 받아쳤다.
협치 능력도 화두에 올랐다. 정 후보는 대야 관계에 있어 “협치는 합리적인 사람들과 하는 것”이라며 “불합리하게 억지 쓰고 발목 잡는 것은 강력하게 표결 처리하고 돌파하겠다”는 강경한 입장도 표했다. 그는 “민주당은 지금 개혁하기에 넉넉할 만큼 의석수를 가지고 있다”면서 “국민이 눈살 찌푸리지 않게, ‘너무 일방적으로 독주하는 것 아니냐’는 경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해야 할 개혁을 충분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박 후보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민 통합’ 행보에 당이 발을 맞춰야 한다며 대야 관계에서도 소통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강하면서 세련된 개혁을 해야 한다”며 “대화를 원할 때는 제가 가진 통합적, 안정적 리더십을 십분 발휘해 야당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겠다”고 말했다. 대야 소통 능력을 자신의 강점으로 내세운 것이다.

박 후보는 정 후보를 향해 “대화보다 싸움에 강한 이미지인데, 만약 야당 대표들이 대화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정 후보의 강경한 태도를 에둘러 비판한 것이다. 정 후보는 국회 상임위원회 간사 생활을 언급하며 “그 역할을 너무나 잘했다. 저는 법사위원장 때처럼 때로는 유연하게, 때로는 강력하게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두 후보는 검찰개혁에 대해 “수사·기소 분리를 조속히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반면 ‘당원 주권 정당’을 이룰 방법론에는 차이를 보였다. 정 후보는 당원주권국 설치, 당원 포상제 확대, 연말 전 당원 콘서트 등을 약속했다. 박 후보는 정 후보의 공약 중 연말 전 당원 콘서트 상설화, 국회의원 1일 상담 제도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공천 반영 등에 대해선 반대한다며 대신 전략공천 당원 추인제 도입, 당원의 선출직 평가 확대, 당내 선거 공영제, 의원총회 공개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놨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