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힘 윤희숙 “송언석·나경원·윤상현·장동혁 거취 밝혀라”

입력 : 2025-07-16 18:30:00 수정 : 2025-07-17 00:49:17
백준무·이지안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혁신위, 첫 인적쇄신 대상 지목

당 지도부 극우단체 행사 참석 겨냥해
“과거와 단절 부정·광장 세력 끌어들여
극악한 해당행위”… 친윤계와 정면충돌
의원들에 ‘계파활동 금지 서약’도 요구

송 “공감 안돼… 비대위가 혁신안 확정”
장 “무작정 절연은 안돼… ‘혁신’ 포장”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단절을 1호안으로 내놓은 데 이어,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의 인적쇄신을 요구하며 친윤(친윤석열)계와 정면 충돌을 예고했다. 쇄신 대상으로 지목된 당사자들은 즉각 반발에 나섰다. 진통 끝에 출범한 혁신위의 쇄신작업이 본격적인 계파 간 갈등으로 비화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16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의원에 대한 거취 결정 요구 등 인적쇄신 방안을 밝히는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윤 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과거와의 단절에 저항하고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넣고 있는 나·윤·장 의원, 송 비대위원장은 스스로 거취를 밝혀라”라고 말했다. 21대 대선 패배 이후 국민의힘 내부에서 쇄신 대상을 실명으로 지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함께 윤 위원장은 소속 의원 전원을 상대로 ‘계파활동 금지 서약서 제출’을 요구했다.

혼란의 국힘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혁신위원회가 발표한 인적쇄신안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앞서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송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을 인적쇄신 대상으로 지목하며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고 촉구하는 모습. 뉴스1

윤 위원장은 “지난 13일 이 자리에서 당이 지금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책임이 있는 분들께 사과를 촉구한 바 있다”며 “그 이후 일어난 일들을 보면, 사과하기는커녕 오히려 사과할 필요도 없고 인적쇄신의 필요도 없다며 과거와의 단절 노력을 부정하고 비난했다”고 짚었다. 그는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제대로 단절하라는 당원들의 여망을 배신하고 오히려 더 가깝게 붙으려는 움직임까지 있었다. 광화문의 광장 세력을 당 안방으로 끌어들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극악한 해당 행위”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 같은 발언은 송 비대위원장과 정점식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가 14일 윤 의원이 국회박물관에서 주최한 ‘무엇을 할 것인가, 자유공화 리셋코리아를 위하여’ 토론회에 참석한 것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이 토론회에는 한국사 강사 출신 전한길씨가 연사로 나와 부정선거 음모론을 거론하며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을 잃었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전씨는 15일에도 장 의원이 주최한 다른 토론회에 모습을 나타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윤희숙 혁신위원장의 '인적쇄신 대상' 발언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윤 위원장은 “국민과 당원에게는 계엄이 악몽”이라며 “그간 당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중진이란 분들이 혁신을 면피수단으로만 삼으면서, 실제로는 과거로의 회귀를 선동하고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윤 위원장은 친윤계뿐 아니라 친한(친한동훈계)계까지 언급하면서 “똑같이 절망스러운 것은 지난 3일간에도 계파싸움이 계속됐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3년 전에는 친윤계파가 등장해 당 의사결정을 전횡하더니 소위 친한이라는 계파는 지금 ‘언더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며 “당헌이 금지하는 불법 계파조직이 아직도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위원장은 2·3차분 인적쇄신에 대해 “계속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거취 결정이 탈당을 뜻하느냐”는 질문엔 “스스로 거취를 밝히라는 것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윤 위원장의 공개적인 인적쇄신 요구 이후 당사자들은 당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윤 위원장의 요구와 관련해 “당의 역량 강화를 위한 충정으로 모든 일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절차적으로 혁신 방안은 혁신위 안에서 충분한 숙의과정을 거쳐 의결하면 비대위에 보고되고, 비대위에서 최종 혁신 방안이 확정된다”고 말했다. 혁신안 승인 권한은 혁신위가 아니라 비대위에 있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자신이 토론회에 참석한 것을 윤 위원장이 “극악한 해당 행위”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해선 송 비대위원장은 “전혀 공감이 안 된다”고 답했다.

 

장 의원 역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윤 위원장의 오발탄”이라고 반발했다. 장 의원은 “국민의힘마저 절연하면 그분들(윤 전 대통령 지지자)은 누가 지켜줄 것인가”라며 “선거 때는 도와 달라 사정하고, 선거 끝나면 내쫓고, 소금 뿌리고, 문 걸어 잠그고, 얼씬도 못 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을 ‘혁신’으로 포장한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이 당을 살리고, 무너진 보수를 다시 세우기 위해 저는 언제든 기꺼이 희생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거취 표명은 하지 않았다.

 

한편 국민의힘은 20일 의원총회를 열고 ‘윤희숙 혁신안’의 수용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전당대회 역시 다음달 안에는 개최한다는 방침이다.


백준무·이지안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