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일정 조율도 못해
특사단 선정 놓고 잡음까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시한인 8월1일을 보름여 앞둔 16일 한·미 통상 협상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도 진전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며 이재명정부의 대미 외교가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통상 협상과 관련, “국익을 최선으로 하는 방안 안에서 여러 가지 조건 속에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금 통상 교섭에 관해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미 정상회담은 통상 협상 등과 맞물려 일정 조율이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통상 협상과 정상회담이 맞물리면서 일정 조율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 일정이 7월을 넘길 경우 8월 여름휴가 기간 등으로 9월 유엔 총회에서 한·미 정상 간 첫 대면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서에서 “대통령이 취임한 지 40여일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역대 정권과 비교해 한·미 정상회담이 늦어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대미 협상이 중요한 상황에서 새 정부 외교장관이 인사청문 과정에 있고, 주미 한국대사도 공석인 상황이 불안감을 가중시킨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통령 대미특사단은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단장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최고의원 등의 이름이 거론됐으나, 이 최고위원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김 전 비대위원장의 특사단 포함을 반대하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지는 등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