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사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무기 공급 재개 바로 다음날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를 공격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으며 ‘러시아 달래기’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모스크바를 공격목표로 해도 되는가’라는 질문에 “겨냥해선 안 된다”고 일축했다. 이어 그는 장거리 타격이 가능한 무기들을 제공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도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무기 공급 재개 발표와 러시아에 대한 제재 구상을 밝힌 다음 날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에서 열린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담에서 나토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공격용 무기 등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러시아가 향후 50일 안에 전쟁 종식을 위한 합의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와 교역하는 국가에 대한 약 100%의 ‘2차 관세’ 등 강력한 제재에 나서겠다고 말하며 러시아에 대한 압박에 나서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0일이 지나도 우크라이나 전쟁 중단을 위한 합의가 나오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되냐는 질문에 “매우 나쁠 것”이라며 “관세가 시작될 것이고 다른 제재들도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과 관세를 통한 제재로 러시아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런 강력한 압박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한 달래기에 나선 것이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전장의 균형을 맞추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과도하게 자극함으로써 전쟁이 더 격화하는 상황은 피하겠다는 의중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 달래기 일환인 측면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기반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 인사들은 이번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계획이 미국의 해외의 전쟁 개입 중단 공약을 어긴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 중이다.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레믈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 대통령의 발언은 매우 심각하며 그들 중 일부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평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