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발전사업, 에너지안보 측면에서 공공성 중요
해외기업 기술력, 국내기업 내재화 지원 노력”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15일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공공이 주도적으로 일정 역할을 수행할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상풍력발전사업 허가 용량 90% 이상이 외국계·민간에 집중돼 있단 지적에 “국가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공공성이 중요하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재명정부가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조직이 환경부에 더해지는 ‘기후에너지환경부’ 또한 대안으로 논의 중인 상황이다.

김 후보자는 일부 공공부문 발전 자회사를 ‘해상풍력 전문기관’으로 개편하는 안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현재 5개 발전 자회사의 주요 발전원이 석탄인 점을 고려해 석탄발전 자회사들이 해상·육상풍력으로 전환하거나 일부 발전 자회사를 통폐합해 공공 해상풍력으로 전문화하는 방안에 대해 정부조직 개편 후 효과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민간 주도 해상풍력발전사업에 따른 전기요금 변동성 우려에 대해서는 “해상풍력은 대규모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금융 측면의 어려움이 크고 국내 은행이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상황이다. 이를 감안해 공공성을 확보하면서 안정적 전력공급과 요금 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우리나라 해상풍력 공급망 문제에 대해선 해외 기업 기술력을 국내 기업이 내재화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 해상풍력 잠재력은 매우 크나 우리 공기업이 따라가지 못해 많은 해외 기업이 한국에 진출하려고 하는 상황”이라며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체제를 경쟁 체제로 일부 전환하면서 국내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오스테드, 베스타스, 지멘스 같은 해외 기업의 앞선 기술력을 국내 기업이 내재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