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례 소환 거부’ 尹 강제구인 시도 불발
김건희특검, 국토부 등 10여곳 압수수색
IMS 투자한 그룹 수장들에 소환 통보도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별검사팀(특검 조은석)이 14일 국방부와 국군방첩사령부, 드론작전사령부 등 24곳에 대한 전방위 압수수색에 나서며 외환 혐의 강제수사를 본격화했다. 내란 특검은 의혹의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뒤 두 차례 소환 통보에 불응하자 강제인치를 시도했지만 윤 전 대통령이 거부해 불발됐다. 윤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씨 관련 여러 의혹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팀(특검 민중기)은 이른바 ‘집사 게이트’와 관련해 자본잠식 렌터카 업체에 180억원대의 투자를 한 대기업·증권사 총수들에게 17일 오전 10시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다.

내란 특검은 이날 경기 과천시 소재 방첩사와 포천시에 있는 드론사,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백령도 부대 등 24곳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윤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고자 지난해 10월쯤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는지, 군이 이를 은폐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있는지 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내란 특검은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 전 대통령이 이날 오후 2시까지 출석하라는 요구에 응하지 않자 강제구인 절차를 밟았다. 박지영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서울구치소장에게 피의자 윤석열을 오후 3시30분까지 서울고검 청사 내 조사실로 인치하도록 지휘하는 협조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교정당국 요청에 응하지 않고 수용실에서 나오지 않으면서 불발됐다. 특검은 15일 오후 2시까지 윤 전 대통령을 인치하도록 재지휘하는 공문을 보낼 방침이다.
김건희 특검은 이날 김씨 일가의 ‘집사’로 불리는 김예성씨가 설립에 관여한 IMS모빌리티에 총 184억원을 투자한 대기업·증권사 최고위층에 대한 소환 통보를 했다. 조현상 HS효성 부회장과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윤창호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 등이 대상이다. 특검팀은 이날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의혹과 관련해선 국토교통부와 용역업체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했고,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핵심 피의자들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