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분기 감소 전환 이후 규모 확대
소매업서 급감 두드러져… 62%나 차지
배달 수수료·최저임금 인상 등도 영향
일각 “창업 예산 축소·제도 위축이 원인
정책적 지원·창업 위한 환경 조성 필요”
대전에 거주하는 정진주(26·가명)씨는 재작년 봄부터 카페 창업을 준비해 왔다. 대학 졸업 후 취직한 직장에서 2년 동안 월급의 절반 이상을 꼬박 저축해 창업 자금을 모았다. 그러나 현실은 만만치 않았다. 창업 자금을 대출받기 위해 은행 여러 곳을 찾아다녔지만, 사업 경험이 없는 청년에게 금융기관의 문턱은 높았다. 정씨는 “담보로 잡을 부동산도 없고, 신용도 그리 높지 않은 상태에서 몇 천만원을 빌리는 건 불가능했다”며 “정부 지원사업도 알아봤지만 경쟁률도 높고 조건도 까다로워서 선정되기 쉽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그는 현재 창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카페 직원으로 일하고 있다. 정씨는 “재료비, 인건비 등은 꾸준히 오르는데 카페에서 일하면서 사람들의 소비가 줄었다는 현실을 체감하고 있어 창업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커졌다”라고 말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어렵게 시작한 회사 문을 닫거나 아예 창업을 포기하는 청년사업자가 늘고 있다. 14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사업체를 운영 중인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는 35만4672명(월평균)으로 1년 전보다 2만6247명 감소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7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통상 가동 사업자는 경제 규모가 커지면 그에 따라 늘어난다. 가동 사업자는 사업자 등록을 한 후 영업을 계속하고 있는 사업자를 뜻한다. 실제로 청년 가동사업자는 통계가 집계된 뒤로 청년 인구가 감소하는 와중에도 증가세를 유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인 2020∼2022년에도 매 분기 늘었다.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고금리 여파로 폐업자가 급증한 2023년에도 2분기(2211명)와 4분기(6779명)에 증가 폭이 1만명 밑으로 축소되기는 했지만 증가세는 유지됐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 청년 가동 사업자는 1만9400명 줄며 처음 감소했고, 이어 4분기(-2만1527명)와 올해 1분기에는 감소 폭이 더 커졌다. 가동 사업자가 줄었다는 것은 창업보다 휴·폐업이 더 많다는 것이다.

청년 사업자 감소는 특히 소매업에서 두드러졌다. 올해 1분기 소매업 청년 사업자는 12만7089명으로 1년 전보다 1만6185명 줄었다. 전체 청년 사업자의 약 3분의 1이 소매업에 집중되어 있는 만큼, 이번 감소분의 62%도 소매업에서 발생했다. 소매업 청년 사업자는 작년 3분기 처음 감소(-8806명)한 뒤 반년 만에 감소 폭이 두 배로 커졌다.
음식업 청년 사업자(4만6269명)도 1분기에 5507명 줄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작년 3분기부터 분기마다 음식업 청년 사업자가 약 5000명씩 사라지고 있다.

김경환 성균관대 글로벌 창업대학원장은 “청년 창업을 기회형 창업과 생계형 창업으로 구분하면, 두 유형 모두 감소했지만 소매업 창업자와 같은 생계형 창업자의 감소 폭이 훨씬 컸다”고 분석했다. 김 원장은 “청년 창업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매업 분야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인 것은 배달 수수료, 최저임금 인상,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수료 등 매출 원가 부담이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김 원장은 이어 “청년 창업 예산 축소와 관련 지원 제도 위축이 직접적인 원인”이라며 “경제 활력과 성장 동력을 위해선 정부가 청년들의 위험 기피 현상을 고려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청년들의 기업가 정신을 늘리는 문화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