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HMM 부산 이전으로 5년간 15조6000억원의 경제효과 기대

입력 : 2025-07-14 16:34:37 수정 : 2025-07-14 18:59:14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HMM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자본의 흐름을 지역경제로 유입시키는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와 함께 해운·물류 거점도시로서 부산의 정체성과 경쟁력을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4일 이 같은 내용의 HMM 본사 부산 이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HMM 본사 유치 경제효과 및 유치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이 HMM본사 부산 이전에 따른 파급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부산상의 제공

보고서는 HMM이 5년간 국내경제에 총 11조2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4조400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및 2만1300명의 고용유발효과를 가진 기업으로 평가했다. 특히 부산에는 △생산 7조6000억원 △부가가치 2조9000억원 △고용 1만6000명에 상당하는 직·간접 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본의 구조적 흐름을 지역으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통해 국가균형발전은 물론, 부산의 해운물류산업 경쟁력 향상과 관련 지식서비스산업 성장에도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다.

 

HMM 부산 이전의 정성적 경제효과로는 △연관산업 및 해운 클러스터 활성화 △일자리창출 및 고급 인재 유입 △해운·물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서 부산의 도시 위상 강화 △해양산업 기반시설 및 관련 혁신 생태계 촉진 △국토균형 발전 등을 제시했다.

 

HMM 본사 사옥 신축에 따른 경제효과도 상당하다. 50층 규모의 인텔리전트 빌딩을 건축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단기적으로 △생산유발효과 1조3000억원 △부가가치유발 5179억원 △고용유발효과 4570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토대로 HMM 유치를 위한 제도적 지원 기반이 될 ‘글로벌 해운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별법에는 부산을 해운·물류 중심도시로 성장시킬 수 있는 각종 행정특례와 세제 혜택, 이전 비용 및 연구개발(R&D) 지원, 특별 해양금융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을 구체화하고, 해사법원 설립에 대한 근거도 함께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본사 이전에 반대하는 육상노조를 설득하기 위한 방법도 제시했다. 사전 소통 및 정례 협의체를 구성하고, 일정기간 거점 근무나 원격 근무를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형 정착지원 및 복지를 확대해야 한다. 또 정부·기업·노조 간 상생협약 체결과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용 등을 통해 대상 직원의 이전 수용성을 제고하는 구체적인 대응전략도 담았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글로벌 10대 선사 중 7곳이 해양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상황에서 HMM(글로벌 8위) 기업 본사의 부산이전은 국내외 해운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엄청난 이슈인 만큼 지역경제계도 부산 해운물류산업 발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면서 지역경제계 차원의 총력지원을 다짐했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성경 '심쿵'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