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동영 “통일부 명칭 변경 검토 가치 충분…‘한반도부’도 대안”

관련이슈 이슈팀

입력 : 2025-07-14 15:22:37 수정 : 2025-07-14 15:43:27
국윤진 기자 sou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두 국가 인정한 동독·서독 통일이 실용노선”
가족 태양광 사업 논란에 “생계형 호구지책”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답변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해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사항이라며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가 주관한 통일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통일부 명칭 변경과 관련 “여러 이야기를 듣고 있다.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중요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명칭 변경의) 검토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그는 통일부 명칭 대안 중 하나로 ‘한반도부’를 제시하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개 국가론’이라고 선언한 원인에 대해선 “강대강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며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한 북의 대응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과거 동·서독의 통일을 ‘실용적 접근’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사실상의 두 국가를 인정하면서 화해와 교류 협력을 통해서 통일로 다가간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은 바로 실용주의 노선”이라고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한미 연합훈련에 관한 질의에 “2018년 한반도에 봄을 열었던 것이,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된 한미 군사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대화의)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며 “앞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한편, 정 후보자의 부인인 민혜경 씨가 태양광 관련 업체 A사의 대표이사로 등재돼 있고 두 아들이 이사로 재직 중인 상황에서 정 후보자가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을 발의한 데 대해 이해충돌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는 “(해당 법안은) 여야 7명이 냈고 82명이 공동 발의했는데 저는 이 82명 중에 한 명”이라며 “(법안에서의 태양광 발전은) 제 아내가 소유하고 있는 것과 성격이 다르다. 영농형(태양광발전)은 농지에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게 해서 농가 소득을 증대하고 그를 통해 농촌 소멸을 막기 위한 것이고 제 아내가 소유한 시설은 중고 태양광 발전시설”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생계형, 호구지책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을 매입한 것”이라며 “5년 전 제가 선거에서 실패한 뒤에 제 수입원이 국민연금 밖에 없었다. 그래서 고정적 생활비 마련을 위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국윤진 기자 sou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성경 '심쿵'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