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태양광 사업 논란에 “생계형 호구지책”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해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사항이라며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가 주관한 통일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통일부 명칭 변경과 관련 “여러 이야기를 듣고 있다.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중요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명칭 변경의) 검토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그는 통일부 명칭 대안 중 하나로 ‘한반도부’를 제시하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개 국가론’이라고 선언한 원인에 대해선 “강대강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며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한 북의 대응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과거 동·서독의 통일을 ‘실용적 접근’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사실상의 두 국가를 인정하면서 화해와 교류 협력을 통해서 통일로 다가간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은 바로 실용주의 노선”이라고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한미 연합훈련에 관한 질의에 “2018년 한반도에 봄을 열었던 것이,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된 한미 군사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대화의)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며 “앞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한편, 정 후보자의 부인인 민혜경 씨가 태양광 관련 업체 A사의 대표이사로 등재돼 있고 두 아들이 이사로 재직 중인 상황에서 정 후보자가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을 발의한 데 대해 이해충돌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는 “(해당 법안은) 여야 7명이 냈고 82명이 공동 발의했는데 저는 이 82명 중에 한 명”이라며 “(법안에서의 태양광 발전은) 제 아내가 소유하고 있는 것과 성격이 다르다. 영농형(태양광발전)은 농지에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게 해서 농가 소득을 증대하고 그를 통해 농촌 소멸을 막기 위한 것이고 제 아내가 소유한 시설은 중고 태양광 발전시설”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생계형, 호구지책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을 매입한 것”이라며 “5년 전 제가 선거에서 실패한 뒤에 제 수입원이 국민연금 밖에 없었다. 그래서 고정적 생활비 마련을 위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