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합참의장 "한미일 안보협력, 北 위협에 국한하지 않아"… 중국 견제에 한·일 참여 요구하나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7-11 11:13:05 수정 : 2025-07-11 11:13:05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댄 케인 미국 합참의장이 11일 “(한·미·일 안보협력이) 이제는 북한 위협에만 국한되지 않고 진정한 책임 분담을 향해 함께 미래의 길을 밝혀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 외에도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케인 의장은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22차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Tri-CHOD) 모두발언에서 “11년전 첫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는 북한의 위협에 국한됐다”며 “과거 북한에만 국한됐던 위협이 중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동맹국들의) 책임 공유를 필요로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존 다니엘 케인 미국 합참의장이 11일 서울 용산구 합참에서 열린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합참 제공

한·미·일 안보협력 대상이 북한을 넘어 중국 위협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공개석상에서 표현한 것으로, 중국 위협 대응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동맹들을 끌어들이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기조가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해석이다.

 

케인 의장은 “지금은 데이터를 공유하고, 서로에게 배우며, 신뢰를 쌓아야 할 시점”이라며 “핵심은 억지력을 재정립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3국 간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명수 합참의장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하고, 역내 안보 도전요인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한·미·일 3국 안보협력의 추동력을 유지하고 지속 발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회의를 통해 대한민국, 미국, 일본의 안보협력이 더욱 강화되고,미래지향적으로 발전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요시다 통합막료장은 이번 회의 참가 목적에 대해 정치적 상황에 영향받지 않는 3국 협력의 제도화, 북한에 대한 억지력 강화를 위한 3국 결속의 견고화, 복합 위협과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인태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3국의 협력 등을 꼽았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