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경제단체가 잇달아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을 17년 만에 합의로 결정한 데에 앞으로 협의에도 기대감을 드러냈다. 정부에는 이번 합의가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으로 이어지도록 후속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11일 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 전원회의에서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을 올해 대비 2.9% 인상된 1만320원으로 결정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 4명이 퇴장하긴 했으나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이 합의에 따라 최저임금을 결정한 때는 1988년 최저임금제 도입 이후 8번째이며 올해가 2008년 이후 17년 만이다.
최저임금위원회에 사용자 측으로 참가한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최저임금 결정에 대한 사용자위원 입장’을 내고 “경영계는 이번 합의가 우리 사회가 갈등을 넘어 통합과 화합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총은 “이번 결정은 당면한 복합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기존의 갈등을 반복하기보다는 각자의 입장을 일부 양보하고 조율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하며 이뤄진 합의 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번 결정을 계기로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보다 신속히 추진하고, 최저임금 인상이 경영난 심화나 일자리 축소와 같은 부작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적 보완과 지원을 병행해 주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작금의 대내외 경제여건을 감안할 때 17년 만에 노사 합의를 통한 의사결정이 이뤄진 점은 높이 평가한다”며 “경제계도 새로운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요한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입장을 냈다. 이어 “내수침체와 고물가로 힘들어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고려할 때 정부는 이들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추가적 지원책을 마련하고, 기업을 하기 좋은 환경 조성과 규제 완화에도 적극 나서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