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극재 시장서도 중국 의존도 낮추는 공급망 고민 커져
포스코퓨처엠이 일본 주요 배터리사를 새 음극재 고객으로 확보했다.
포스코퓨처엠은 11일 일본 주요 배터리사와 음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세종 공장에서 천연흑연 음극재를 생산해 일본에서 제조되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공급할 계획이다. 양사는 회사 이름을 포함해 구체적 계약 대상, 기간, 규모를 공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일본 주요 배터리사를 고객으로 추가 확보하며 사업 성장을 위한 고객 다변화라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은 고객사 요구에 맞춘 다양한 천연·인조흑연 음극재를 개발해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실리콘 음극재 사업화도 추진 중이며 음극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공정 혁신으로 가격 경쟁력도 높였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극재를대량 양산하는 이차전지 소재사인 포스코퓨처엠은 흑연 원광 및 중간소재를 자급하는 체제를 구축해서 공급망 경쟁력도 강화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각국의 공급망 다변화과 무역규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그룹사와 원료부터 소재생산 전 과정에 이르는 독자 공급망 확보를 추진해오고 있다.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 역시 중국 의존도가 높다. 중국 기업들은 천연·인조흑연을 불문하고 전 세계 음극재 시장을 사실상 지배한다. 미·중 갈등 등 대외변수가 부각될수록 중국 의존도를 낮춰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중국의 수출조치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중국이 무기화한 광물자원 중에는 흑연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대체 공급망을 확보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졌고 서방권에서도 중국을 대신할 음극재 공급망으로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다.
현재 포스코퓨처엠은 천연흑연 음극재는 아프리카 등지 국가에서의 흑연 원광을 확보해 중간소재인 구형흑연을 국내에서 생산, 원료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다. 인조흑연 음극재는 국내 포스코제철소 공정에서 나온 코크스를 가공해 흑연 원료를 제조한다.
일본 주요 배터리사를 새롭게 고객으로 확보하면서 배터리업계 침체와 함께 실적이 좋지 않은 음극재 사업도 활기가 기대된다. 여전히 중국 업체들이 음극재 완성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으나 향후 배터리사 및 완성차사 같은 음극재 고객사가 대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퓨처엠은 “앞으로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제조 역량과 공급망 경쟁력 고도화 등을 통해 고객 기반을 지속적으로 넓혀가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