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0년 전 강남에 전세끼고 집 산 친구, 지금 20억 벌었다고?”

입력 : 2025-07-11 09:52:47 수정 : 2025-07-11 20:30:49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평균 시세차익 6억2000만원…지방보다 3배 이상 높아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업소에 부동산 매물 정보가 붙어 있다. 최근 10년간 서울 아파트 갭투자 수익률이 크게 오른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수억 원대 시세차익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뉴시스

 

최근 10년간 서울에서 전세를 끼고 매매하는 이른바 ‘갭투자’를 했다면, 강남구에서는 평균 20억 원 이상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집토스가 2015년 갭투자를 가정해 10년간 시세 변동을 분석한 결과, 서울 강남구의 평균 시세차익이 20억7000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용산구 16억6000만 원, 서초구 13억3000만 원 순이었다.

 

시도별로는 서울의 평균 시세차익이 6억2585만 원으로 가장 컸으며, 수익률 기준으로는 무려 439%에 달했다. 경기(1억90241만 원), 대전(1억3512만 원), 제주(1억2778만 원), 세종(1억2373만 원), 인천(1억844만 원) 등도 평균 차익이 1억 원을 넘어섰다.

 

서울 강남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부동산 플랫폼 조사에 따르면, 2015년 갭투자를 했다면 강남구 아파트 평균 시세차익은 20억 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

 

수익률만 놓고 보면, 초기 투자금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지역의 상승폭이 더 컸다. 성동구는 686%로 수도권 내 수익률 1위를 기록했으며, 경기 과천이 659%로 뒤를 이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과거 갭투자 수익률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인구 구조, 수요 흐름, 정책 변화 등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