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거북선에 일장기 달다니…SRT 간식박스 받아보니 분노

입력 : 2025-07-09 11:14:09 수정 : 2025-07-09 11:14:08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경덕 교수 “있을 수 없는 일”
SR 측 “사과…전량 회수·폐기”

수서발 고속철도 SRT의 특실에서 제공된 간식 박스 거북선 그림에 일장기와 유사한 문양이 등장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 같은 논란이 처음이 아니어서 역사의식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 

 

SRT 특실 간식박스 표지에 일장기를 단 거북선이 그려져 있어 논란이 일었다. 오른쪽은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된 전라좌수영 거북선의 삽화. 서경덕 교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캡처·옥포대첩공원기념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에 일장기를 건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해당 사실은 간식 박스 사진이 SNS에 확산하면서 알려졌다. 

 

간식 박스에는 ‘SRT를 타고 떠나는 낭만 여행 여수’라는 문구와 함께 여수의 명물인 거북선 삽화가 포함돼 있다. 그런데 거북선 뒷부분에 달린 깃발에 일본의 국기인 일장기와 유사한 붉은 해 문양이 그려져 있었다. 

 

서 교수는 “이건 단순한 디자인 실수가 아니라, 역사적 상징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에서 비롯된 심각한 문제”라며 “절대 제작사에 책임을 떠넘기지 말고 SRT 측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잘못된 간식 박스는 전량 폐기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시스템 점검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SRT 운영사 SR은 “문제가 된 간식 박스를 전량 회수해 폐기하고, 제작업체와의 계약을 재검토하는 한편 내부 검수 절차를 강화하는 등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를 시행하겠다”며 “이번 사안으로 상처받은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밝혔다.

 

지난 5월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식 리허설 영상에 등장한 일본 신사. 서경덕 교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캡처

 

우리 역사에 의미 있는 행사에 일본 것을 잘못 사용해 논란이 된 일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지난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식 행사 영상에서는 일본 신사가 등장했다. 

 

세종대왕 나신 날은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고 문화국가로서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지정된 국가 법정 기념일이다. 그런데 경복궁 공식 행사에 앞서 상영된 영상에 일본 신사 모습이 담겼다. 

 

당시에도 서 교수는 “해당 신사는 일본 국가등록유형문화재인 도쿄의 ‘간다 신사’ 사진이며, 영상 속 또 다른 건물은 중국의 절 형상을 한 사진”이라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 영상은 리허설 테스트 영상으로, 화면은 삭제됐고 본행사 때는 사용되지 않았다. 

 

동해와 독도가 잘못 표기된 상품들. 서경덕 교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캡처

 

지난해에는 동해를 영어로 ‘Sea of Japan’(일본해)이라고 표기한 지구본·한반도 지도 자석 등 상품이 국내 다수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국내 유명 관광지에서 판매하는 한반도 지도 자석에는 독도가 영어로 ‘Dokdo’가 아닌 ‘Dogdo’로 잘못 기재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