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할머니만 건강하셨으면"… 아파도 참는 '영케어러'

입력 : 2025-07-09 14:29:35 수정 : 2025-07-09 14:29:34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어린 나이에 가족을 돌보는 이른바 ‘영 케어러’의 경우 정작 본인은 제때 병원에도 가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이나 장애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가족을 돌보다보니 자신의 건강을 챙길 여력이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영 케어러’는 전국에 약 10만명 규모로 추산된다.

 

이른바 ‘영케어러’의 경우 정작 본인은 제때 병원에도 가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실린 ‘가족돌봄청년의 실태와미충족 의료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가족돌봄청년은 그렇지 않은 청년에 비해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최대 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19∼34세 1만4966명을 가족돌봄청년인 그룹과 아닌 그룹으로 나눴다. 그리고 이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미충족 의료 경험 가능성 등을 비교·분석했다.

 

전체 1만4966명 중 가족돌봄청년은 82명(남성 32명·여성 50명)으로, 이 중 34명(41.46%)이 19∼24세였다.

 

경제활동상태는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자로 구분되는데 취업자는 57명(69.51%) 이었다. 23명(28.05%)은 비경제활동자, 나머지 2명(2.44%)은 무직이었다.

 

가족돌봄청년은 가족을 돌보지 않는 청년에 비해 대학 진학률이 낮았다. 번아웃 경험도 월등히 많았다.

 

이른바 ‘영케어러’의 경우 정작 본인은 제때 병원에도 가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교육 수준이 ‘고등학교 이하’인 경우가 가족돌봄청년은 30.49%에 달했으나, 일반 청년은 13.83%였다. 반면 ‘대학교 재학 혹은 자퇴’라는 응답은 가족돌봄청년은 19.51%, 일반 청년은 31.70%로 반대 양상이었다.

 

연구팀은 “가족돌봄청년은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고등학교 이하에 해당하는 비율이 높고 대학교에 재학하거나 자퇴한 비율은 낮았다” 며 “가족돌봄청년 중 학업에 큰 어려움을 느끼며 진학을 포기한 청년이 많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가족돌봄청년의 46.4%는 최근 1년간 번아웃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했다. 일반 청년은 32.46%에 그쳤다.

 

가족돌봄청년은 불가피한 경제적·사회적 환경 등의 요인으로 인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도 일반 청년과 비교해 최대 4.9배에 달했다.

 

연구팀은 “가족돌봄청년은 돌봄 역할 수행으로 정신적·경제적으로 부담을 질 뿐만 아니라 건강권의 측면에서도 불리한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국내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