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연금보다 매매 차익?…서울 집값 오르자 고령자 선택 달라졌다

입력 : 2025-07-09 07:19:33 수정 : 2025-07-09 07:19:32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5월 주택연금 신규 가입 23.8% 급감…중도 해지 늘고 “시세차익 기대” 확산
서울 한강변을 따라 들어선 아파트 단지들이 짙은 안개 속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령층의 주택연금 가입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뉴스1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다시 오르자 주택연금 가입자가 넉 달 만에 줄어들었다.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기보다는 시세차익을 노리는 쪽으로 분위기가 돌아선 셈이다.

 

9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금융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주택연금 신규 가입 건수는 1164건으로 집계됐다. 4월(1528건)보다 23.8% 줄어든 수치다.

 

앞서 올해 들어 가입 건수는 1월 762건, 2월 979건, 3월 1천360건, 4월 1528건으로 매달 늘었지만, 5월 들어 증가세가 꺾였다.

 

반면 주택연금을 중도 해지한 사례는 늘었다. 5월 해지 건수는 179건으로, 전달(162건)보다 10.5% 증가했다.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 고령자가 본인 집을 담보로 맡기고 거주를 유지하면서 매달 연금 형태로 생활비를 받는 제도다.

 

하지만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면, 당장 연금을 받기보다 나중에 집을 팔아 차익을 얻겠다는 수요가 늘며 가입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실제 최근 서울 집값은 시장 심리를 자극할 수준으로 반등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흐름을 나타내는 주택매매지수는 지난 5월 95.534를 기록해 2년 5개월 만에 95선을 돌파했다. 이 지수는 2022년 1월을 100으로 놓고 산출하는데, 지난해 5월 90.130에서 시작된 상승세가 매달 이어지고 있다.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도 고조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주택가격전망지수는 5월 111로, 전월보다 3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10월(11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6월에는 120까지 치솟았다. 기대 심리가 과열 양상을 띠는 만큼, 당분간 주택연금 수요는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