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에 내달 1일부터 25% 부과
대통령실 긴급대책회의 열어
“국익 최우선 협상 준비 만전
시장 다변화 등 대책도 보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을 대상으로 오는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25%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낸 데 대해, 대통령실은 정책실장 주재로 통상 관계부처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예고한 9일보다 약 20여일 유예한 점을 감안해, 정부는 최악의 상황은 일단 피했지만 남은 3주 동안 미국과의 협상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침에 따라 25%의 고율 관세를 낮추기 위한 현실적 대안을 마련하고, 관련 산업 피해 최소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긴급대책회의에서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이달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했다”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 준비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각 부처에 당부했다. 김 실장은 “다행히 현재 시장 반응은 차분하지만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자동차·철강 등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 대책도 차질 없이 이행하는 동시에 시장 다변화 등 수출 대책도 보강하라”고 주문했다.
김 실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한·미 통상장관·안보실장 협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 양·다자회의 계기에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진단하며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통령실에서 김 실장과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등이 참석했고 정부에서는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김진아 외교부 2차관 등이 참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한 무역 관련 서한에서 “우리의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었다”며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오직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 관세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8월 1일까지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당신이 지금까지 미국에 닫혀 있던 무역 시장을 개방하고, 당신의 관세와 비관세(장벽), 정책과 무역 장벽을 없애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어쩌면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들 관세는 당신 나라와 우리의 관계에 따라 위로든 아래로든 조정될 수 있다. 당신은 결코 미국에 실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마코 루비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장관과 만나 관세 협상 등에 관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대통령실은 위 실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루비오 국무장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열고 한·미 관계 발전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다음 달 1일 전까지 양국이 합의를 이루기 위해 소통해나가자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