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을 맡은 김대식 의원은 7일 당 혁신위원장직을 사퇴하고 당대표 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의원을 향해 “혁신위에서마저 철수하지 말아달라”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혁신을 말하던 분이 혁신의 자리에서 가장 먼저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모습을 국민께서 어떻게 바라보시겠나”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이 어렵고 민심이 멀어질수록, 정치인은 더 낮게 국민 곁에 가야 한다”며 “혁신위원장직 수락 5일 만에 사퇴 선언과 당대표 출마로 이어지는 ‘벼락치기 정치’는 혁신의 진정성을 무색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안 의원은 불과 며칠 전, 당을 ‘말기 암 환자’에 비유하며 본인이야말로 유일한 ‘집도의’라고 말씀하셨다”며 “그러나 스스로 수술실 문을 나서며 ‘칼을 내려놓겠다’는 결정을 국민은 혁신의 결단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정치가 쇼가 되고 희화화되면 국민의힘은 앞으로 어떠한 혁신도 웃음이 될 뿐이다. 지금 국민의힘에 필요한 것은 스스로를 과대포장하는 정치가 아니라, 자리를 지키며 무거운 책임부터 다하는 정치”라며 “안 의원께서 정말로 당의 쇄신을 고민하신다면, 혁신위에서마저 철수하는 대신, 국민과 당원의 비판을 끝까지 견디고 혁신의 길을 완주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안 의원은 혁신위 위원 인선에 반발하며 혁신위원장에 내정된 지 닷새 만인 이날 위원장을 전격 사퇴하고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했다.
안 의원은 이날 당 비대위가 혁신위 구성을 의결한 직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되지 않은 날치기 혁신위원회를 거부한다”며 “당을 위한 절박한 마음으로 혁신위원장 제의를 수락했지만 혁신위원장 내정자로서 혁신의 문을 열기도 전에 거대한 벽에 부닥쳤다”고 말했다.
그는 “최소한의 인적 청산을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판단 아래 비대위와 수차례 협의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최소한의 인적 쇄신안을 비대위에서 받을 수 있는지 의사부터 먼저 타진했다. 주말 동안 의견을 나눴지만 결국 (쇄신안을) 받지 않겠다는 답을 들었다”고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오전 국민의힘 비대위는 최형두 의원, 호준석 당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송경택 서울시의원, 김효은 전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을 혁신위원으로 임명하는 혁신위 구성을 의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