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추진하던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 예산이 추경 예산안에서 사실상 전액 삭감됐다. 이에 따라 AH-64E 아파치 가디언 공격헬기 36대를 추가도입하는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은 추진 동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6일 군 당국과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에 따르면, 이번 추경에서 올해 국방 예산은 정부안보다 900억 원 감소했다. 통신 요금 등 전력운영 부문 3개 사업에서 28억 원,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 등 방위력 개선 부문 7개 사업에서 878억 원이 삭감됐다.

방위력 개선사업에선 △GOP 과학화 경계 시스템 성능개량(시험평가 지연) △소형무인기대응체계 연구개발(낙찰차액 발생) △이동형 장거리 레이더(국외판매 업체와 협상 결렬) △120㎜ 자주 박격포(탄 규격 불일치로 구매 불가) △특수작전용 권총(낙찰차액 발생) △기동저지탄(연구개발)(도입시기 조정) 등에서 감액이 이뤄졌다.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은 100억 원이 배정됐지만, 국회 심의과정에서 3억 원으로 확정됐다.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국방부의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은 100억 원에서 97억 원이 감액된 3억 원으로 확정됐지만, 이 예산은 타 사업에 전용돼 사실상 전액 삭감”이라고 설명했다.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은 지상군의 공세적 종심기동작전을 지원하고 입체 고속 기동 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문재인정부 시절부터 추진된 사업으로, 미국 보잉 AH-64E 도입이 유력했다.
하지만 업체에서 제시한 가격이 대당 441억 원(1차)에서 733억 원(2차)으로 급등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격헬기 무용론도 제기됐다. 미 육군도 구형 아파치를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유 의원은 “해당 사업은 지난 5월 합동참모회의에서도 유·무인 복합체계 등 대체전력 검토로 진행이 결정됐다”라며 “이번 추경에서도 예산이 전액 삭감돼 사업 백지화 가능성이 커졌는데, 드론이 중시되는 현대전 양상에서 공격헬기 추가 도입 전면 재검토는 긍정적 움직임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