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러브버그 앞으로 일주일만 참으세요”…돌아오는 주말쯤 소멸 전망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이슈플러스 ,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07-06 05:56:18 수정 : 2025-07-06 08:46:2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일주일만 참으세요”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5~8일 내 자연 소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4일 환경부 및 소속기관 직원들이 인천 계양구 소재 계양산을 중심으로 활동중인 러브버그 성체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기와 포충망을 활용해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뉴스1

6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러브버그 발생 양샹을 예측 모델로 분석한 결과, 지난 1일 기준 전체 활동의 약 86%가 진행된 것으로 예측됐으며 5∼8일내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 소멸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림청 분석을 계산하면 오는 주말인 12∼13일쯤이 예상된다. 

 

올해는 러브버그의 최초 발생 시기가 지난해보다 약 일주일 늦어지면서 종료 시점도 다소 늦춰졌다.

 

산림과학원은 시민과학 플랫폼과 기상 자료를 결합해 활동 시기를 예측해왔다.

 

러브버그는 일본·중국·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찰되는 부식성 파리류다. 인체나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지만 대량 발생 시 일상생활에 불편을 유발한다.

 

다만 살충제를 이용한 퇴치는 생태계에 교란을 줄 수 있어 각 지자체에서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방역에 나서기도 한다.

 

4일 환경부 및 소속기관 직원들이 인천 계양산을 중심으로 활동 중인 러브버그 성체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기와 포충망을 활용해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연합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6월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469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274건)보다 약 49.4% 감소한 수치다. 러브버그 방제 민원은 2022년 4418건, 2023년 5600건, 2024년 9296건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한혜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장은 “관계 부처와 협력해 러브버그의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앞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예측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