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당이 그 당이었나 싶을 정도로 바꿔라”
“안철수 혁신안, 당 지도부 전폭 수용해야”
“과거와 완전히 결별하는 구조 만들어야”
국민의힘 안철수 혁신위원회 본격 출범을 앞두고 최재형 전 혁신위원장이 “‘인적 쇄신’ 없는 혁신은 요식행위에 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 전 위원장은 6일 세계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금 당 지도부가 사실은 그동안 우리 당을 쭉 이끌어왔던 그 흐름이 그대로 이어져 있다”며 “거기서 완전히 벗어나서 인적 쇄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민의힘 ‘당3역’인 원내대표와 사무총장, 정책위의장이 모두 친윤(친윤석열)계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 중진 의원들이 맡고 있다.

최 전 위원장은 “이 당이 그 당이었나 싶을 정도로 바꿔야 한다”며 “사실은 인적 혁신이 필요한데 그걸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혁신위원회 인선이 늦어지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최 전 위원장은 “혁신위원장이 다 알아서 하게 맡겨야 하는데, 그렇게 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했다. 과거 최재형 혁신위 구성 당시를 설명하며 “대부분 혁신위원장이 추천한 사람으로 구성되고 일부 최고위원이 추천한 사람으로 꾸렸다”며 “추천을 받아도 문제가 있을 것 같은 분들에 대해서는 제가 이야기를 해서 바꾸기도 하고 그랬다”고 말했다.
이어 “혁신안을 만들어도 사실은 당 지도부가 채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며 “현재 당내 기류는 혁신위가 아예 그냥 혁신안을 만들면 무조건 받아주겠다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자신이 혁신위원장을 맡았던 당시 상황도 회고했다. 최 전 위원장은 “그 당시에 이준석 당대표가 계속 있었으면 당대표랑 계속 조율하면서 혁신을 만들어볼 텐데, 당대표가 혁신위 출범하자마자 쫓겨나고 말았다”고 회상했다. 그는 “결국은 혁신위가 그나마 만든 것도 다음 비대위나 당대표 지도부에서 채택 안하고 끝나버렸다”며 “이번에도 결연한 각오가 없다면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많다”고 우려했다.
최재형 혁신위는 이준석 당대표 시절인 2022년 6월말 지방선거 승리 직후 출범해 이듬해 총선을 대비해 예측가능하고 투명한 공천시스템을 개선하고 기득권에 치중된 정치진입 장벽을 낮추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지만 이 전 대표가 당에서 축출되면서 탄력을 잃어 그해 말 6가지 혁신안을 발표했으나 당이 수용하지 않았다. 당시 혁신위는 공직후보자 추천 시 부적격 기준 강화 및 공직후보자기초자격평가(PPAT) 확대, 온라인 당원투표제, 국회의원 정기평가제, 비례대표 공천 이원화 등을 발표했다.

최 전 위원장은 안철수 혁신위의 성공 조건으로 ▲인적 쇄신을 수반하는 혁신안 도출 ▲당 지도부의 전폭적 수용 의지를 꼽았다. 그는 “당 지도부는 최대한 혁신위원회의 권한을 위임하고 또 그걸 전폭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혁신위는 유명무실한 요식행위가 돼버린다”고 경고했다.
최 전 위원장은 8월로 예상되는 전당대회를 앞둔 현 시기의 어려움도 지적했다. 그는 “전당대회에서 당대표가 새로 선출될텐데 새롭게 나올 혁신안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질 것인지도 중요하다”며 “과도기적 시점에 혁신안을 잘 만들고, 전당대회에서 이를 수용한다고 하면 좋은데, 그것이 이뤄질지가 관건”이라고 짚었다. 또 “젊은 사람들로 바뀌고 좋은 살마들이 들어올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전 위원장은 판사 출신으로 문재인정부에서 감사원장을 지냈다. 그는 감사원장 재직 당시 문재인정부의 월성원전 경제성 조작 사건으로 인해 정부와 갈등일 빚다 6개월여 임기를 남기고 사퇴했다. 이후 국민의힘에 입당해 대선 예비후보로 출마했고, 2022년 3월 재보궐 선거에서 서울 종로구에 출마해 당선돼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마지막으로 최 전 위원장은 “국민이 지금 바라는 게 과거와 완전히 결별하는 그런 구조를 만들 수 있는 혁신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당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