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시 네이버 주식 전량 매도…‘공직자윤리법’ 근거

정보기술(IT) 분야 여성 리더의 대표 주자로 이재명 정부의 첫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 지명된 한성숙 네이버 고문이 중기부 장관 취임 시 자신이 보유한 23억원 규모의 네이버 주식(총 8934주)을 전량 매도한다. 고위공직자 본인과 이해 관계자가 보유한 주식의 총가액이 3000만원을 초과하면 2개월 안에 주식 매각이나 백지신탁을 규정한 현행 ‘공직자윤리법’에 따른다.
중기부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물론 창업·벤처기업 등을 관할하는 부처로 한 고문이 장관으로 임명되면 각종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네이버와의 이해충돌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통상 정부 부처 수장은 정치인·교수·관료 출신이 많았는데, 민간 전문가는 현장 실무에 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이라는 분명한 장점을 갖고는 있으나 정부 행정에 대한 이해가 떨어질 수 있고 특히 업무 수행 과정에서 ‘출신 회사’와의 이해충돌 발생 가능성 우려가 늘 제기되어 왔다.
앞서 정부가 한 고문과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을 지명하자 ‘실용주의’ 노선과 경제 살리기에 전력을 쏟겠다는 국정 철학 반영 인사라는 평가를 받으면서도, 이러한 단점을 언급하는 목소리가 나온 이유기도 하다. 일부에서는 민간 영역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다 보니 재산·가족관계 등 전방위적 검증을 받아야 하는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기가 정치인·교수·관료에 비해 어렵다는 점이 부담 요소로 작용할 거라는 관측도 있었다. 종합하면 한국 경제가 성장 동력을 잃어간다는 우려를 타개할 이재명 대통령의 일종의 ‘승부수’인 셈이다.
1989년 숙명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컴퓨터 전문지 민컴의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한 고문은 나눔기술 홍보팀장을 거쳐 1997년 검색 사이트 중 하나인 엠파스의 창립 멤버로 합류했다. 이곳에서 검색사업본부장을 맡아 국내 최초로 다른 포털 사이트의 자료까지 찾아주는 ‘열린 검색’ 서비스를 파격적으로 선보인 그는 2007년 네이버 전신 NHN으로 자리를 옮겨 검색품질센터 이사로 같은 길을 걸어갔다.
네이버 서비스1본부장과 서비스총괄 이사 등을 지내며 차곡차곡 경력을 쌓은 한 고문은 네이버가 국내 1위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업계 최초로 웹툰의 부분 유료화 시도와 간편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를 선보인 공로로 2017년에는 여성 최초로 네이버 최고경영자(CEO)에 올라 2022년까지 5년 동안 대표이사를 지냈다.
한 고문의 모친도 보유한 현대차 주식 575주(1억1000만원)와 삼성전자 2589주(1억5000만원)를 매각할 예정이다. 한 고문과 그의 모친이 매각할 주식가액은 모두 25억6000만원으로 매각이 완료되기까지는 일주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는 주식 매각 결정은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두루 고려해 내린 것이라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