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인상교통료 환급액 포함
道 “하반기에 관련 예산 반영”
‘김동연표’ 교통정책인 ‘더(The) 경기패스’가 3주년을 맞은 민선 8기 경기도의 대표 정책으로 떠올랐지만 정작 혜택을 늘리기 위한 예산이 도의회에서 삭감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연령·소득에 따라 20∼53%의 환급 혜택을 제공하는 경기패스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잇따르는 가운데 교통비 부담 완화의 대안이 되고 있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가 여론조사기관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8∼23일 18세 이상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화면접(95% 신뢰 수준, 표본오차 ±2.2%포인트)에서 도민들은 김 지사의 역점 정책 가운데 경기패스 추진 등 교통정책(24%)을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 이어 360도 돌봄 추진 등 복지(11%),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 경제(10%), 경기북부대개발 추진 등 지역균형발전 정책(10%) 등의 순이었다.
각각의 정책을 긍정·부정으로 나눠 평가해달라는 물음에는 교통 분야(75%), 복지 분야(64%), 민생경제 분야(59%) 등의 순으로 긍정평가율이 높았다.
앞서 도는 정부가 출시한 K패스에 기반을 둔 경기패스를 지난해 5월 출시하며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 맞대결을 벌였다. 이용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으면서 K패스와 차별화했고, 최근 가입자 140만명을 돌파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도민 250만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경기패스에 가입한 것으로, 전국 K패스 가입자 중 경기도민은 40%가량을 차지한다.
이처럼 경기패스의 주목도가 높아졌지만 이달 초 도의회는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에서 경기패스 지원을 위한 예산 144억원 가운데 43억원(29.8%)을 감액했다. 이번 추경안에는 하루 2회 초과 이용분인 월 60회 초과 대중교통 이용분에 대한 도의 전액 환급 예산 등이 포함됐다. 아울러 지난달 28일 150원 인상된 수도권 지하철 요금과 200∼300원 인상이 예상되는 도내 시내버스 요금 등에 대한 환급 비용이 고려됐다.
도는 경기패스 사업 차질이 불가피해지면서 2차 추경을 통한 재원 확보를 고심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른 도민 부담을 경기패스 혜택 강화로 완화하려 한다”며 “하반기 추경에 관련 예산을 다시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