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은 “서비스업 생산성, 제조업의 40% 그쳐”

입력 : 2025-07-03 20:11:45 수정 : 2025-07-03 20:11:44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독자 성장기반 취약… 코로나 이후 더 악화
금융·보험 등 고부가 부문 해외 확장 필요

국내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이 제조업의 40%에 불과하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이슈노트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평가 및 정책적 대응 방향’에 따르면, 민간 서비스업은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4%, 취업자 수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커졌으나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여년째 제조업의 40% 수준에 머물렀다.

서울 시내의 한 폐업 식당 앞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부문에서 한층 악화했다. 금융, 보험, 정보통신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은 비대면 수요 확대 등에 힘입어 일시적으로 개선됐다가 2022년 이후 하락 전환해 최근 장기추세를 10%가량 밑돌고 있다. 도소매, 숙박 음식 등 저부가가치 서비스의 생산성도 과거 추세를 약 7% 하회하고 있다.

한은은 서비스업이 제조업의 생산과 수출을 지원하는 보완적 역할에 그치면서 독립적인 성장 기반이 취약해진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그 결과 서비스업은 노동집약적 구조에 머무르고 있다.

고부가가치 서비스는 내수와 공공 부문에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해외 시장 진출이나 혁신이 부진했다. 2021년 기준 지식 서비스 기업 총매출의 약 98%가 정부·공공 등 내수에 집중됐다. 저부가가치 서비스업에서는 양질의 일자리 기반이 취약해 생계형 자영업 진입이 확대되면서 영세성이 고착했다. 지난해 자영업자의 60%가 저부가가치 서비스에 종사하고, 저부가가치 서비스 자영업자 중 73%가 1인 영업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은 제조업과의 융합으로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수출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며 “저부가가치 서비스 부문의 생계형·비자발적 자영업자들은 중견 이상 규모의 기업 일자리로 이동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