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해 ‘신뢰 회복’을 통한 대화 재개 메시지를 내놓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복귀 대책을 같이 준비하자”고 환영했다.
이 대통령은 3일 청와대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해법에 대한 질문에 “전 정부의 과도한 억지스러운 정책, 납득하기 어려운 일방적 강행 등이 문제를 많이 악화시켰고 의료 시스템을 많이 망가뜨려 국가적 손실도 매우 컸다”며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발언은 이 대통령 취임 후 의∙정 갈등과 관련한 첫 공개 발언이다.

지난해 2월부터 이어진 의∙정 갈등의 주축이었던 의협은 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환영의 뜻을 전했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질의응답 시간에 현재의 의료사태 해결방안에 대한 질의가 있었고, 대통령께서는 결국 신뢰와 소통이 문제 해결의 중심임을 이야기했다”며 “또한 학생과 전공의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을 정부에서 마련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하셨다. 의협은 대통령께서 이 문제에 대해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의협은 의료 대란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대책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김 회장은 “현재 의료현장은 땜질식 처방으로 간신히 유지되고 있다. 특히 중증, 응급을 다루는 분야는 하루하루 살얼음판을 걷는 마음으로 지내고 있다”며 “군 의료의 공백은 이미 시작되었고, 지역의료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공중보건의 제도는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래의 의사, 전문의들이 양성되는 과정이 우선 정상화되어야 한다. 지금 정상화되지 못한다면 이 여파는 향후 10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또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올 수 있는 의학교육 정상화도 강조했다. 김 회장은 “한 학년에 2개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너무 클 것”이라며 “하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을 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 정부 역시 오늘 대통령께서 언급하신 바와 같이 복귀를 위한 대책을 같이 준비하자”고 말했다.

끝으로 김 회장은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데 있어 전문가들의 경험과 지식을 적극 반영하는 것은 그 정책이 올바른 길로 가게 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면서 “의료정책 역시 난제가 많은 분야다. 지역의료 격차 해소, 공공의료의 문제, 저출생과 고령화에 따른 의료현장의 변화에 대한 대응, AI 등 기술의 발전을 의료와 접목하는 문제 등 다양한 문제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정부와 대승적 협력과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빠른 사태 해결과 신뢰를 강조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의 조속한 임명 결정을 통해 의료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