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고] 미화된 ‘위험 행동’, 무감각하게 소비하는 시대

관련이슈 기고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5-07-02 22:57:25 수정 : 2025-07-02 22:57:2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우리는 매일같이 ‘안전’이라는 단어를 듣고 말한다. 하지만 그 말이 우리 삶 속에서 온전히 실천되고 있는지는 돌아볼 필요가 있다. 최근 한 방송에서 사다리 꼭대기나 철근 더미 위에서 안전장비 하나 없이 작업하는 장면이 ‘놀라운 기술’로 포장되어 방영되는 것을 보았다. 어쩌면 익숙하기까지 한 생명을 건 아찔한 행동이 아무렇지 않게 소비되는 사회, 그것이 지금 우리가 마주한 안전문화의 부끄러운 모습이다.

‘안전문화’라는 용어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계기로 사회적 화두가 되었다. 크고 작은 사고를 겪으며 하나의 사회는 아픔을 교훈 삼아 나아갈 방향을 찾는다. 그 방향은 바로 모두가 안전하게 살아가기 위해 쌓아가는 가치와 약속, 곧 ‘안전문화’다. 안전문화는 그 사회가 생명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드러내는 거울이다.

이창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교육홍보이사

그런 의미에서 방송을 비롯한 대중매체는 안전문화 확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축이다. 지금까지 방송에서는 흡연 장면이나 범죄 도구 노출을 자제하는 등의 가이드라인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모두가 함께 만든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최소한의 합의고 약속이다. 이제는 그 기준에 ‘위험행동의 미화’도 포함되어야 한다. 누군가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동을 ‘놀라움’이라는 감탄으로 소비하는 것은 이제 사라져야 한다.

산업현장도 예외가 아니다. 여전히 생산성과 효율성이 안전보다 우선시되고, 큰 사고 뒤에 얻게 되는 교훈은 되풀이되고 있다.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사고사망만인율은 0.3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세계 10위 경제대국이라는 위상과는 너무나도 동떨어진 결과다.

이는 특정 기업이나 노동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방송에서의 위험행동이 아무렇지 않게 소비되듯, 산업현장에서도 안전 규칙이 지켜지지 않는 문화가 여전하다. 문제는 그러한 문화가 어느새 익숙함이 되어버렸다는 점이다. 우리에게 익숙해야 하는 것은 ‘위험행동의 미화’가 아니라 ‘안전행동의 일상화’다.

7월은 정부가 정한 ‘산업안전보건의 달’이다. 매년 이 시기에 안전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안전보건 우수사례 발표대회, 세미나,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이러한 행사가 안전문화를 단숨에 바꾸지는 못하겠지만 많은 이들이 그 의미를 되새기고 사회적 약속을 실천하려 노력할 때, 우리는 조금 더 안전한 사회에 가까워질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의 달을 맞아 다시금 생각해 본다. 우리는 과연 얼마나 안전을 실천하며 살고 있는가?

TV 화면 속 사다리 위에 선 작업자나 철근 위의 해체작업자를 바라보며 ‘저 사람에게 안전장비를 채워주고 싶다’라는 마음이 든다면, 바로 그 마음이 우리가 지켜야 할 안전문화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안전은 누구 하나의 책임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몫이다. 이제는 안전을 말만 하는 사회에서 벗어나 삶 속에서 실천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

위험을 무감각하게 소비하지 말자. 그것이 우리가 지켜야 할 최소한의 약속이다.

 

이창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교육홍보이사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