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자치를 통해 지방정부는 지역의 특성과 경쟁력에 기반을 둔 지역 발전 비전을 스스로 수립·시행하는 주체로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여전히 지방에 비해 과대한 중앙정부의 권한 등 지방자치의 한계가 명확하고, 지방정부의 권한과 재정에 대한 실질적인 이양이 필요합니다.
부산은 지난 30년간 ‘글로벌 도시’로 도약한다는 비전 아래 도시 인프라 확충과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도시 외연을 확장해 왔습니다. 이 시기에 광안대교 개통과 도시철도 확장, 센텀시티 개발, 부산신항 개항 등이 이루어져 도시의 연결성과 경쟁력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민선 8기 부산시정은 ‘글로벌 허브도시’와 ‘시민행복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부산이 가진 가능성을 입증하고, 새로운 상징성을 부여하며, 도시의 정체성을 새롭게 확립해 온 여정이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경쟁력과 도시브랜드를 끌어올리고, 대내적으로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자부심을 안겨드렸다고 자부합니다.
지난 3년간 부산시정의 핵심 키워드는 ‘늘리고·높이고·풀고’ 3고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먼저 투자와 일자리를 늘리고, 가덕도신공항 등 혁신의 인프라를 늘리면서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했습니다.
이제 남은 1년의 임기 동안 부산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면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수도권 일극체제가 야기한 성장잠재력 저하, 저출생, 격차 심화 등을 극복하고 재도약해야 할 중대한 분수령에 놓여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마다 ‘떡시루’를 만들고 혁신균형발전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특별법 제정과 한국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이 가장 시급합니다. 정쟁을 떠나 국가 전략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도록 새 정부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갈 것입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