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자치가 부활한 지 30년. 울산은 단순한 제도 운영을 넘어 스스로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정책형 지방정부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특히 울산은 1995년 지방자치 시작과 1997년 광역시 승격을 압축적으로 경험하면서 제도적 자율성과 실행력을 동시에 갖춘 지방자치의 대표 사례로 성장해 왔습니다.
과거 울산은 공해 도시라는 이미지가 강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30년 동안 생태와 산업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정체성을 전환해 왔습니다. 태화강을 죽음의 강에서 1급수 생명의 강으로 되살렸고, 국가정원 지정에 이어 2028년 국제정원박람회 유치까지 이뤄냈습니다. 이는 생태정원도시로의 전략적 전환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산업구조 역시 변화하고 있습니다. 울산은 수소, 첨단조선, 친환경자동차 등 미래 산업 생태계를 적극 육성하고 있습니다.
중앙정부가 독점하던 개발제한구역 해제 권한을 확보하고, 보통교부세 산정 지표에 산업경제비 반영을 이끌어내는 등 지방의 정책 기획력을 제도에 반영하는 성과도 거뒀습니다.
국내 최초로 대기업과 인사 교류를 제도화해 행정 혁신과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으며, 그 결과 2022년 이후 24조원 규모의 투자와 1만1700여개 일자리를 유치했습니다.
울산은 지방정부가 정책을 설계해 국가 제도 개선을 이끈 사례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 권한 확보, 수소도시 조성사업, 분산에너지특구 제도화 주도, 광역비자 시범사업 주도 등입니다.
2055년을 바라보는 다음 지방자치 30년, 울산은 실질적 재정분권과 수도권·지방 격차 해소, 기술과 시민 참여 기반의 자치 강화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변화의 흐름을 선도하겠습니다. 국가의 지속가능한 미래는 지역의 생존력에서 시작됩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