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직인 구매확약서·명함 위조
재무팀 직원인 척 업체 구매 유도
사기 계좌에 입금되면 바로 잠적
警, 수사 착수… 대학도 대응 분주
최근 대학가에서 교직원을 사칭해 대리 구매를 유도하거나 검수 명목의 비용을 요구하는 사기가 잇따라 벌어지고 있다. 정치인이나 군인 등을 사칭한 이른바 ‘노쇼’ 사기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대학가에서도 이 같은 수법의 사기가 이어지고 있다. 대학들은 자체 공지를 통해 주의를 당부했다.

서울 노원경찰서는 1일 광운대 교직원을 사칭해 2000만원을 편취한 신원미상 피의자 A씨를 형법상 사기 혐의로 추적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달 광운대 재무팀 직원인 척 피해 업체에 연락해 ‘다른 업체 물품을 대신 구매해달라’며 계좌를 알려주고 대금이 입금되자 이를 가지고 잠적했다. 그가 피해 업체에 보낸 구매 확약서에는 총장 직인이 찍혀있는 등 서류를 치밀하게 위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직원 명함까지 받아 본 피해 업체 대표는 사기 행각을 의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A씨가 피해 업체에 알려준 계좌는 A씨가 범죄 수익금을 빼내기 위한 계좌였고, 확약서와 명함 역시 가짜였다.

다른 대학을 사칭한 사건들도 벌어지고 있다.
지난달엔 경희대 교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서울과 경기에 있는 바닥 시공업체, 컴퓨터·에어컨 판매업체, 인테리어 업체 등 6곳에 전화를 걸어 물품을 발주하며, 거래를 위해 일정 금액을 본인에게 선납해 달라는 사기를 시도하기도 했다. ‘검수비’ 명목 등으로 절차상 필요하다고 속이는 식이다. 고려대도 교직원을 사칭해 사기를 시도한 사건 2건을 파악하고 경찰에 고소했다. 업체들 모두 수상함을 느끼고 이들 대학에 직접 확인해 실제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다.
대학들은 누리집에 교직원 사칭 사기 범죄 주의 안내문을 게시하며 대응하고 있다.

광운대는 지난달 25일 올린 안내문에서 “우리 대학 사업자등록증 사본, 구매확약서, 위조된 교직원 명함 등을 사용해 물품을 주문하고 관련 대금의 선입금을 요구하는 등 사기 및 물품 대금 편취 행위가 시도되고 있다”며 “어떠한 경우에도 물품 구매를 구두로 발주하지 않을 뿐 아니라 물품 대리 구매 및 대금 대납을 요청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양대도 “개인 휴대전화나 비공식 절차를 통한 금전 요구를 절대하지 않으며 모든 거래는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며 “의심스러운 공문이나 연락을 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관련 부서에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사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 달라”고 공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