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장 없이 통보 취지… 혼란 우려
블룸버그 “美, 대만 등과 합의 근접
한국과도 타결 가능성 있어” 보도
7월 하순 한·미 정상회담 조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월8일 유예가 종료되는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해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겠다고 밝혔다. 무역 협상이 필요 없으며 각국에 관세율을 통보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방영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각 국가와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것과 관련해 “우리는 편지를 보낼 것이다. 나는 (상호관세 부과를) 지금 하는 게 더 나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협상 대상 200개국과 모두 협상할 수는 없다면서 앞으로 보낼 관세 관련 서한이 “무역 협상의 끝”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무역 협상을 총괄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앞서 지난 27일 언론 인터뷰에서 일부 국가에 대해선 미국 노동절인 9월1일까지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트럼프 대통령 역시 협상 기한을 늘릴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상호관세 유예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서한을 통해 관세율을 통보하겠다는 뜻이어서 혼란이 예상된다.
블룸버그통신이 이날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대만,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일부 국가들과 무역 협상 합의에 근접해가고 있다”며 “한국, 베트남과의 합의도 가능할 수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를 종합할 때 미국은 이미 무역 협상을 완료한 영국 외에 아시아 동맹국, 파트너국들을 빠른 협상 진행 대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경우 정치적 혼란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협상이 진척되지 못해 협상 기한을 유예받는 그룹에 속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으나 앞서 정부 관계자는 안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부 내에선 합의 도출 정도와 관계없이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 방식 자체에 워낙 불확실성이 많은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미국 측의 통보가 있은 뒤 세부 협상이 이후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대통령실은 7월 하순을 목표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30일 통화에서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 “현재로서는 7월 하순이 가장 가능성이 크다”면서 “관세 협상이 한국만 해당되는 것이 아닌 만큼 서두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미국과 다른 국가의 관세 협상 추이를 지켜보면서 협상 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