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산시,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도약 위한 비전과 전략 발표

입력 : 2025-06-18 14:45:10 수정 : 2025-06-18 14:45:09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부산시가 정부의 해양수산부 및 HMM 본사 부산 이전 정책에 발맞춰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도약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내놨다.

 

부산시는 18일 영도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22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글로벌 상위(TOP) 5 해양도시’ 도약을 위한 3대 전략과 9개 과제를 발표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18일 부산 영도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제22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열고, ‘글로벌 해양도시’ 도약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박 시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부산의 해양산업은 오랜 시간 지역경제를 이끌어 왔으며, 바다는 시민 삶의 터전이자 부산의 역사”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선 8기 출범부터 지금까지 바다에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다”며 “‘해양’이라는 강력한 도메인을 가진 부산만이 할 수 있는 일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시가 발표한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도약을 위한 비전과 전략은 ‘바다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대한민국,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부산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해양 이니셔티브(주도권) 선점, 글로벌 해양중추도시 조성 △해양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도약 △블루이코노미 선도 3대 전략과 9개 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해양 이니셔티브 선점, 글로벌 해양중추도시 조성의 세부과제는 해양수산부 및 해양 공공기관 통합 이전(해양주권)과 해사전문법원 부산 설립(벌률·제도), K해운선사 부산 이전(산업집적)으로 요약된다.

 

재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부산항 북항 일원에 해양 행정타운·해양금융·해양 특화첨단산업단지 등 해양 복합타운 조성과 우암 해양산업클러스터 일원에 대형 해운선사 유치 등 해운·항만산업 특별구역 지정하고, 영도 동삼혁신지구에 연구 역량을 핵심으로 하는 산업 역량 전환을 시도해 도시 전반을 아우르는 트라이 오션서비스 시티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두 번째 해양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도약은 해양신산업 선도 분야 확대(선도정책), 해양산업 인공지능 대전환(초격차 기술), 인공지능(AI)을 다룰 줄 아는 인재 육성이 세부과제다.

 

마지막으로 블루이코노미 선도를 위해선 북극·녹색해운 항로 거점항 조성(거점 조성)과 블루이코노미 실현(자원활용), 글로벌 해양경제 거버넌스 확대(네트워킹)를 추진한다.

 

박 시장은 “해양 중추 기능 강화를 위한 해양수산부 이전을 환영하며, 부산이 해양 첨단기술의 시험대(테스트베드)가 돼 해양 디지털 경제를 선도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해양 경제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대한민국이 5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소중한 발판이 되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민 여러분의 삶과 직결된 ‘해양의 가치’를 경제, 환경, 문화, 일상과 연결해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