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8일 서울·부산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시내버스 동시 파업이 예고된 데 따라 27일 ‘전국 시내버스 파업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열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회의에는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파업 참여가 예고된 서울, 부산, 인천, 광주, 울산, 경남 창원 등 6개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교통공사를 비롯한 유관기관 등 16개 기관이 참여했다.

회의는 각 지역의 버스 노사협상이 결렬돼 실제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시민 불편과 인파 혼잡이 예상된 데 따라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수립 현황, 인파 안전관리 계획 등의 마련을 위해 열렸다.
국토부는 파업을 코앞에 둔 등 6개 지자체에 노사협상 결렬이 파업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사 간 합의를 유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파업 기간 내 국토부 엄정희 교통물류 실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유관기관과 상시 협력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국토부와 각 지자체, 경찰, 교통공사 등과 함께 출퇴근 시간에 시내버스 운행 중단 시 지하철 역사 등의 인파 밀집 우려 지역에 현장상황관리관을 파견해 안전사고 예방에 집중할 예정이다.
엄 실장은 “각 지자체는 가용한 대체 교통수단을 최대한 확보해 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을 철저히 이행하고 대중교통 이용에 혼선이 없도록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중렬 행안부 사회재난대응국장은 “출퇴근 시간 지하철 역사에 순간적으로 인파가 몰릴 경우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큰 만큼 관계기관과 함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