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유예·새 정부 정책 기대감 작용
집값전망지수 111… 7개월 만에 최고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악화했던 소비자 심리가 4년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됐다. 미국 상호관세 유예조치, 새 정부 경제정책 및 추가경정예산안 국회 본회의 통과에 따른 기대감 때문이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5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8로 4월(93.8)보다 8.0포인트 오르며 지난해 10월(101.8) 이후 7개월 만의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88.2까지 떨어져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최대 낙폭(-12.5포인트)을 기록한 뒤 6개월 만에 100선 위로 올라온 것이다. 전월 대비 상승폭은 2020년 10월(12.3포인트) 이후 최대치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 아래는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한은 이혜영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정치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정책 등 부정적 요인이 완화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가 크게 개선됐다”며 “그동안 지수 수준이 낮았던 기저효과도 일부 있었다”고 설명했다.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모두 상승했다. 특히 향후경기전망(91·+18포인트)과 현재경기판단(63·+11포인트)이 큰 폭으로 올랐다. 내달 출범하는 새 정부 경제정책과 추경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조치로 인한 통상 리스크 완화 기대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생활형편전망(97·+5포인트), 현재생활형편(90·+3포인트), 가계수입전망(99·+3포인트), 소비지출전망(108·+3포인트)도 상승했다. 5월 주택가격전망지수(111)도 전월보다 3포인트 오르며 지난해 10월(116)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년 후 집값 전망으로, 100을 넘으며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가 더 많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이달 13∼20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